사도 계승. 성령의 계승과 안수

성직자의 개념에서 파생된 원리 기독교 교회사도 시대(즉, 교회 생활의 1세기)부터 기독교의 가르침, 조직 및 예배를 위해 신성하게 임명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지속적인 수호자로서. 이것… … 콜리어의 백과사전

사도직 계승- 신권 성사를 통해 거룩한 사도들로부터 교회 내 계층적 봉사를 보존하고 전달하는 신성하게 확립된 방법입니다. 이는 주교 서품(안수)의 계승을 통해 실현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아.... ... 정교회 백과사전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 교회사(Church History of Eusebius of Caesarea)는 기독교 교회의 역사를 연대순으로 기술한 현존하는 최초의 작품이다. 이 작품의 중요성은 이 작품에 포함된 정보와 추종자들 덕분입니다. Wikipedia

교회의 경계- 그리스도 안에서 사용된 용어. 개인과 그리스도인 모두가 하나의 그리스도 교회의 ​​회원임을 결정하는 신학. 공동체(고백, 교단, 공동체). G.C. 문제는 현대에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정교회 백과사전

사도직- [사도성], 콘스탄티노플의 니케아 신조에 나열된 교회의 4가지 필수 속성 중 하나: “나는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를 믿습니다.” ἐκκλισιαν). 용어... ... 정교회 백과사전

참 정교회(TOC)는 스스로 정교회라고 생각하고 정식 정교회(보편 정교회)에 반대하며 그들과 성찬식에 참여하지 않는 여러 비정교회 관할 구역의 자칭입니다... Wikipedia

- (CPC) 스스로 정교회라고 생각하고 정교회(보편 정교회)에 반대하며 그들과 성찬식에 참여하지 않는 여러 비정교회 관할 구역의 자칭입니다. 목차 1 역사 ... ... 위키피디아

- (CPC) 스스로 정교회라고 생각하고 정교회(보편 정교회)에 반대하며 그들과 성찬식에 참여하지 않는 여러 비정교회 관할 구역의 자칭입니다. 목차 1 역사 ... ... 위키피디아

개신교 개혁 개신교의 교리 개혁 이전 운동 Waldensians · Lollards · Hussites 개혁 교회 성공회 · Anabaptism · ... Wikipedia

서적

  • 저자 팀인 Bespopovtsy Split의 간략한 역사. 교회 분열 17세기 러시아 정신문화 역사상 가장 중요한 현상 중 하나가 되었다. 고대 신자들의 두 번째 주요 운동인 비신권 운동은 러시아 북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새로운 신자. 그러나 Nikon에서 Ambrose까지 주교가 없었을 때 소위 교회가 옳았다면 현재 Belokrinitsky 계층 구조는 연속적인 봉헌이 없기 때문에 잘못된 것입니다. 당신이 인정한 것처럼 그것이 시작된 메트로폴리탄 암브로스는 당신에게로 향하기 전에 2 급 이단자였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이단자들에게는 사도적 안수 계승이 중단되며, 따라서 당신의 계층 구조는 불법적이고 스스로 결정됩니다.

지상에 그분의 거룩한 교회를 세우신 주 그리스도께서는 감독, 사제, 집사의 세 직급으로 구성된 계층 구조를 설립하고 지도력을 부여하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계층의 계급이 사기꾼이 아니라 선택되어 이 위대하고 거룩한 봉사에 파견되도록 그리스도께서는 위에서 언급한 계층의 계급이 산출되고 오직 주교만이 가질 수 있는 권한을 갖는 봉헌 또는 안수를 제정하셨습니다. 수행하다. 명확성과 이해를 돕기 위해 서품의 계승은 인류의 계승에 비유될 수 있습니다. 즉, 모든 사람이 태어날 때 한 아담에게서 나온 것처럼 모든 사제와 주교도 서품을 통해 한 그리스도에게서 나옵니다. 그리고 우리 각자가 우리의 계보를 아담까지 계속해서 추적할 수 있는 것처럼, 정확한 계보가 있다면 모든 감독도 자신의 성임 계보를 계속해서 그리스도까지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제 정교회 주교들만을 통해서 그리스도로부터 대주교 암브로시오에 이르기까지 여러분의 계층 구조가 연속적으로 봉헌되었음을 표시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십시오.

늙은 신자. 먼저 이 제안을 직접 이행한 후 당사에 요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그리스도로부터 현재까지 정교회 주교들만을 통한 교회의 계층 구조 안수가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내십시오. 그런 다음 우리도 이것을 할 것입니다.

새로운 신자. 우리는 우리 교계의 안수식의 연속성을 증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정교회 주교들을 통해서만 그리스도 자신에게서 지속적으로 나온다는 것을 모든 사람이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늙은 신자. 이 사실을 누가 아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역사는 그 반대, 즉 그리스도께서 오실 때까지 계속해서 정교회 주교들에 의해서만 주교 서품을 계승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필연적으로 이단자들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증언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신자. 이것을 어떻게 증명할 것인가?

늙은 신자. 다음과 같은 책이 있습니다. “서기 36년부터 콘스탄티노플에 위치한 거룩하고 위대한 그리스도 교회의 ​​주교와 총대주교의 역사적 목록입니다. 1834년까지 그리스도." 이 교회는 최초의 부름을 받은 안드레아 사도로부터 콘스탄티노플 교회의 연속적인 계층을 유지했습니다. 따라서 이 사도의 후계자 중에는 콘스탄티노플 교회의 총대주교인 이단자가 많이 있으며, 그로부터 러시아 교회는 그 축성과 위계를 받았습니다. 따라서 355년부터 359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마케도니아(Dukhoborets)의 이단자였습니다. 360년부터 371년까지 아리안 에우독시우스(Arian Eudoxius); 371년부터 379년까지 아리안은 아리안 디모필루스를 성임했다. 그리하여 20년 내내 콘스탄티노플의 왕좌이단자들이 잇따라 점령했습니다. 그런 다음 428년부터 431년까지 이단자 네스토리우스; 449년부터 458년까지 아나톨리(Anatoly), 이단자 디오스코루스(Dioscorus)에 의해 임명됨(보편 컬렉션 행위, vol. 7, p. 113); 491 이단자 플라비타(Flavita)에서 유래; 639년부터 641년까지 이단자 피로스(단일신); 641년부터 655년까지 이단자 바울; 655년부터 667년까지 이단자 베드로(678년 참조); 667년부터 669년까지 토마스는 이단자들에 의해 서품되었다. 669년부터 674년까지 콘스탄티누스, 역시 이단자들에 의해 성임됨(에큐메니컬 컬렉션 행위, 7권, 119페이지); 711년부터 714년까지 이단자 요한(Monothelitus); 730년부터 754년까지 이단자 아나스타시우스(성상 파괴자); 766에서 780까지 Nikita, 역시 우상 파괴자; 815년부터 821년까지 테오도토스 성상파괴자; 821년부터 832년까지 성상파괴자 앤서니; 832년부터 842년까지 요한 7세, 또한 성상 파괴자; 그리고 많은 다른 사람들.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들의 간단한 목록을 보면 그들 중 다수가 이단자였으며 이단으로 서품되었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콘스탄티노플 교회 계층의 이 이단자들은 위의 목록 외에도 제7차 에큐메니칼 공의회의 행위에서 볼 수 있듯이 때때로 이 교회의 왕좌를 몇 년 동안 연속적으로 차지했습니다. , 우리는 다음을 찾습니다. 이단자들에 의해 입문한 사람들이 그들의 대열에 받아들여져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논의되었을 때, 공의회 의장인 타라시우스 성하 총대주교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물론 제6차 공의회에 모인 사람들 중 매우 많은 사람들이 세르지오에 의해 성임되었습니다. 단성론 이단의 선생인 피로스, 바울, 베드로는 연속적으로 콘스탄티노플 교구를 점유했고, 그들 중 마지막으로 콘스탄티노플 교구를 차지한 베드로 이후 15년이 채 지나지 않아 제6차 공의회가 열렸습니다. 그리고 위에 언급된 기간 동안 (콘스탄티노플 교구에) 있었던 바로 그 주교 토마스, 요한, 콘스탄티누스는 위에서 언급한 이단자들에 의해 성임되었으나 이것이 그들에게 불리하지 않았습니다. 이 이단은 그곳에서 50년 동안 계속되었습니다. 그러나 제6차 공의회의 교부들은 비록 그들 자신이 그들에 의해 성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네 사람을 (오직) 저주했습니다. 거룩한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이것은 명백합니다(에큐메니칼 공의회 행위, vol. 7, p. 119). 이것으로부터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인 이단자 세르기우스로부터 토마스에 이르기까지 57년 동안 콘스탄티노플의 왕좌는 이단자들과 이단자들에 의해 성임된 자들에 의해 연속적으로 점유되었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988년 블라디미르 왕자 치하의 이 왕좌에서 러시아 교회는 시작을 얻었습니다. 세례, 봉헌, 계층을 받았습니다.

따라서 이단 주교들의 봉헌이 중단된다면 그것은 루스의 세례가 있기 오래 전에 중단된 것이며, 따라서 고대 러시아 교회 자체는 억압되고 불법적이며 자칭 봉헌을 받고 가졌고, 여러분의 새 신자 교회는 이제 동일한 봉헌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그리스도의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우리의 것이 아니라 당신의 가르침이며, 이것이 당신을 인도하는 곳입니다. 이단자들과 함께 봉헌이 중단된다는 당신의 가르침에 따라, 당신은 고대 정교회와 당신의 새 신자들이 받아들이고 행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할 의무가 있습니다. 합법적이고 중단되지 않는 봉헌의 계승이 중단되었거나 중단되었거나 이 의견을 포기하면서 고대 정교회의 가르침과 관행에 따라 이단 계층 사이에서도 사도적 서품의 계승이 중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중단되지 않으며, 이 경우 Old Believer Church도 이단 계층을 통과했지만 중단되지 않은 안수를 가지고 있음을 인정합니다.

새로운 신자. 왜 나를 속이는거야?! 글쎄, 콘스탄티노플 교회의 주교들이 때때로 몇 년 동안 연속적으로 이단자였다고 가정해 봅시다. 역사가 실제로 이것을 증명하고 있으며 나는 그 증거에 반대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 로마 등 보편적 교회의 다른 지역에는 많은 정교회 주교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당신은 180년 동안 그 어느 곳에서도 그런 것을 갖지 못했습니다. 이것은 봉헌의 연속이 있었지만 당신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현재 Belokrinitsky 계층 구조는 수신되지 않았으며 그러한 연속성을 갖지 않습니다.

늙은 신자. 감사합니다. 그래서 당신은 정교회 주교들만을 통해서는 그것이 불가능하고 그리스도까지 계속해서 당신의 봉헌을 계승할 수 없다는 데 동의했습니다. 그리고 당신은 우리에게 그것을 요구합니다.

새로운 신자. 내가 어떻게 동의했나요?

늙은 신자. 그래서 여러분은 고대 러시아 정교회와 여러분의 새 신자들이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로부터 계층 구조와 안수식의 시작을 받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새로운 신자. 나 진짜 잘 알아.

늙은 신자. 그리고 그들 때문에 당신은 정교회 주교들만을 통한 연속적인 일련의 안수식을 거부하고 따라서 당신은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 로마 등 다른 방향으로 달려갔습니다. 콘스탄티노플 교회를 통해 이 일련의 봉헌식을 수행할 기회가 있었다면 왜 알렉산드리아, 로마 등을 가리키겠습니까? 그리고 이 교회들을 지적함으로써 당신은 콘스탄티노플에 정교회 주교들의 연속적인 계통이 없다는 것을 고백하고 확인하셨습니다.

당신은 서품의 계승을 인류의 계승에 비유하셨습니다. 즉, 모든 사람이 태어날 때 아담의 후손인 것처럼 모든 사제와 주교도 서품을 통해 그리스도에게서, 평신도는 세례를 통해 내려옵니다. 모든 사람이 자신의 조상의 정확한 목록을 갖고 있다면 자신의 계보를 아담까지 계속해서 추적할 수 있는 것처럼, 모든 감독도 자신의 성임 계보를 계속해서 그리스도까지 추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해 보세요. 단 한 사람이라도 합법적인 사람들을 통해서만 자신의 계보를 아담까지 추적할 수 있습니까?

새로운 신자. 물론 누구도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에게는 의심할 바 없이 많은 사생아 조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조차도 많은 사생아를 낳았습니다.

늙은 신자. 공정한. 이제 문제는: 인류의 계승이 사생아 출생으로 끝나서 사생아 조상을 가진 사람은 사람이 아닌가 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신자. 물론 멈추지 않습니다.

늙은 신자. 마찬가지로 서품의 계승도 2급이나 3급 이단자를 거치면서 중단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류의 계승이 불법적인 출생으로 끝난다고 주장하는 현명한 사람이 있다면, 우리는 그에게 합법적인 결혼과 합법적인 출생만으로 가족의 계승을 수행하도록 제안할 것입니다. 자신을 인간이 아닌 존재라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그는 대신 이렇게 말했을 것입니다. "비록 내 조상은 불법 동거의 후손이지만 그 당시 다른 곳에서는 합법적 결혼과 합법적 결혼이있었습니다." - 이것에 대해 뭐라고 말합니까? 이렇게 대답한 사람에 대한 비난은 아니고 변명인가요? 물론 그들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을 것입니다. 우리는 당신의 후손이 아닌 합법적인 다른 사람들이 다른 곳에 있다는 것을 신경 쓰지 않습니다. 당신의 조상이 이와 같다는 것을 보여주십시오. 그러면 당신의 대답만이 정확할 것이고 당신은 자신을 정당화할 것입니다. 당신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당신은 두 번째 계급의 이단자들에 대한 안수 계승이 중단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그리스도께서 서품하실 때까지 정교회 주교들을 통해서만, 정확하게는 그들이 서품받은 사람들, 즉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들을 통해서만 여러분 교회의 주교 서품을 수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대신에 당신은 그것이 알렉산드리아, 로마 등에서 주어졌다고 지적했습니다. 콘스탄티노플 교회에 이단자들이 있었을 때 정교회 주교들도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언급된 주제에 대해 답변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귀하에게 답변할 것입니다. 귀하의 주교가 안수를 받지 않은 정교회 주교가 있다면 그것이 무슨 상관입니까? 당신은 감독님의 조상들이 모두 안수식으로 그랬다고 지적하셨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당신이 지적하지도 못하는 일인데, 지적조차 못하면서 우리에게 요구하고 비난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와 함께 당신은 당신의 눈에 있는 티를 지적하지만 당신 자신의 눈에 있는 들보를 느끼지 못합니다.

이것이 바로 사실임을 확인하고 교회의 사도 계승을 완전히 이해하려면 이 계승이 두 가지 유형, 즉 안수에 의한 계승과 신앙에 의한 계승이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단적인 주교나 신부도 서품의 계승을 갖고, 오직 정교회만이 신앙의 계승을 갖는다. 이것은 신학자 성 그레고리가 성 베드로에게 한 찬사 연설에서 정의되고 설명되었습니다. 아타나시우스 대왕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그의 수위권의 후계자에 의해 마가(전도자)의 왕좌에 올랐으며 경건함도 적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처음에는 그와 멀리 떨어져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에는 가깝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이것이 바로 연속성을 확립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같은 생각 (믿음으로)은 그들을 한 왕좌로 만들지 만 반대하는 것은 다른 왕좌로 만들고 하나의 계승은 이름에서만 발생하고 다른 계승은 사물 자체에서 발생합니다 (창조, 그의, 파트 2, p. 182). 그러나 여러분의 주교들과 신부들은 서품에 의해서만 계승될 뿐 신앙에 의해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전체 정교회가 니콘 이전에 포함하지 않았던 그러한 가르침과 전통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교회 주교뿐만 아니라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통해서도 그리스도까지 계속해서 안수식을 이어갈 수 없습니다. 이 경우 그들의 계승은 현재부터 니콘까지만 수행될 수 있으며 그 이상은 불가능합니다. 사실, 니콘 이전의 완전한 정교회 주교들 중 자신이 담고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예를 들어, 누가 세 부분으로 기도하고 그렇게 기도하지 않는 사람들을 저주했습니까? 여러분의 주교들은 사물 자체가 아니라 명목상으로만 사도적 계승을 갖고 있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새로운 신자. 그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리옹의 성 이레나이우스의 증언에 따르면 우리보다 먼저 사도들과 그들의 후계자들에 의해 교회에서 감독으로 임명된 사람들을 나열할 수 있습니다. 3, 채널. 4].

늙은 신자. 더 읽어 보지 않겠습니까? 아무것도 가르치지 않았고 아무것도 몰랐던 이들 (이단자들)이 열광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여러분의 주교가 가르치는 것을 가르치고 그 내용을 유지하는 주교의 수를 사도들까지 연속해서 나열할 수 있습니까? Nikon과 그의 공범자보다 더 많은 주교의 이름을 지을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당신이 성 이레나이우스에게서 인용한 내용은 당신을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을 비난할 뿐입니다. 성 아타나시우스 대왕의 다음 말은 여러분의 주교 계승에 적합합니다. 아리우스파에 대한 열정과 애정으로 그들의 조상(그들은 첫 번째 에큐메니컬 공의회에서), 또는 조상들이 행한 일이 위반된다면 그들이 행한 사실에 대해 어떤 보장이 있습니까? 아니면 그들이 자신의 결정을 비난한다면 왜 그들을 아버지라고 부르고 자신을 후계자라고 부르나요? (그의 작품, 3부, 121페이지)

새로운 신자. 당신 사회의 사도적 계승에 대해 무엇을 말할 수 있습니까?

늙은 신자. 그리고 우리는 Nikon에서 Metropolitan Ambrose에 이르기까지 주교가 존재하지 않는 기간에도 잠시 멈추지 않고 항상 그것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당시에도 계속해서 사제들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주교들뿐만 아니라 사제들도 신앙과 서품의 사도적 계승을 갖고 있습니다. “신앙에 대하여”라는 책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읽습니다. 모든 감독에게는 자신의 총독이 있으므로 그들을 직접 봉헌하십시오. 많은 주교들이 복된 베드로의 안수를 통해 이 은혜를 받았고, 그들은 그의 대리자이며, 모든 장로들은 그 사도의 대리자이며, 그에게서 신권의 축복을 받았습니다. 20, 엘. 182권]. “조타수”가 말합니다. 그리고 다윗이 말했습니다. “네 제사장들은 의로움을 입을 것이며, 네 아들들은 네 아버지를 대신하게 될 것이며, 너는 그들을 온 땅의 통치자로 삼을 것이다.” 아브라함 자손의 자리에 사도들을 두고, 사도의 자리에 성부들과 대주교들과 제사장들을 두라 57, 엘. 595]. “교회의 아들”이라는 책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제사장 계급, 즉 사도적 상속 재산은 위대합니다. 따라서 고대 신자 교회는 주교가 존재하지 않는 기간에도 정교회 신앙을 유지하고 사제를 두면서 대리자 또는 사도적 후계자를 두었으므로 항상 사도적 계승을 유지해 왔습니다. 명목상으로만 아니라 그 일 자체로도 위임식으로만 아니라 믿음으로 말미암는다. 그러나 당신의 교회에는 그러한 연속성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서품의 승계에 관해서는 교부들의 지시에 따라 조사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성직자가 이단으로 서품을 받았지만 자신이 이단이 아닌 경우에도 그의 직분에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순위(위 참조). 이를 통해 Old Believer Church와 계층 구조는 절대적으로 옳습니다. 그리고 그들을 비난하는 사람들은 속담처럼 태양에게 침을 뱉고 자기 자신에게만 침을 뱉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당신은 예를 들어 Old Believer Church가 사도들로부터 지속적인 계승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었지만 실제로는 그렇습니다. 소위 정교회는 특히 그러한 계승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믿음의 계승은 오류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녀는 루시퍼 이단으로 인해 이단 주교의 안수를 거부하고 정교회만으로는 그러한 계승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수를 통한 계승의 연속성을 증명할 수 없습니다. 이를 고려하여 Old Believer Church에 대한 공허한 비난을 만들어 내려고 노력해서는 안되며 교회의 실제 오류와 오류에주의를 기울이십시오.

새로운 신자.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이야기하겠습니다. 이제 대화를 마무리할 시간입니다. 이별할 때, 당신이 어떻게 변호하든, 우리를 어떻게 비난하든 우리는 당신을 패배시킬 것이라고 솔직히 말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큰 힘- 말로는 아니더라도 행동으로 확실히 당신을 패배시킬 선교사들, 즉 그들은 당신에 대해 심각한 고발을 하고, 재판에 회부하고, 감옥에 가두거나 유배시키거나 심지어는 중노동에 처하게 할 것입니다. 정통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들은 당신의 형제들을 너무 많이 죽였습니다.

늙은 신자. 그게 방법이야! 당신은 선교사들이 악을 행할 수 있다고 자랑합니다. 하지만 뱀은 악을 행할 수 있고, 악마는 그보다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신은 헛된 협박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당신의 약속이나 위협도 믿는 영혼을 흔들 수 없습니다. 당신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고 놀라운 약속과 위협이 있습니다. “그가 이기고 모든 것을 상속받으면 나는 그의 하나님이 되고 그는 내 아들이 되리라”고 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 두려운 부분은 불과 보기로 타는 호수인데, 이것이 둘째 사망이다(묵시록, 21장, 7-8쪽).

대담자들이 흩어졌다

대화가 끝났습니다.

"정교회의 사도 계승 교리"

니콜라이 아레피예프

"정교회의 사도 계승 교리"

업무 계획

소개.

주요 부분:

1 . 정교회의 사도적 계승:

ㅏ. 정교회 신학에서 사도 계승 교리의 해석.

비.사도 계승 교리 출현의 역사.

2 . 복음의 빛으로 본 사도적 계승:

ㅏ.사도 계승 교리가 신약성서의 교리 및 정신과 일치함.

비.사도적 계승과 상식.

마지막 부분:

ㅏ.영향 정통 가르침기독교 전체에 대한 사도적 계승에 관한 것입니다.

비. 사도 계승 교리에 대한 복음주의 기독교인의 태도.

소개

진짜 연구 "정통 교의학과 복음 교리"라는 주제 시리즈에 속합니다. 특히 사도 계승의 원리를 조명하는 정교회의 가르침이 연구 범위에 속합니다. 이 특정 주제를 선택한 이유는 교리적 강령, 한편으로는 정교회 교리, 다른 한편으로는 복음주의 교회의 기독교 신학에 대한 변증적 반대에 의해 정당화됩니다. 정교회 신앙의 상징으로 언급된 교회의 사도직은 정교회 신학자들에 의해 기독교 역사의 모든 시대에 걸쳐 세계 기독교의 다른 모든 종파에서 은총의 은사의 활동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해석됩니다. 정교회를 제외한 교회. 정교회 교부들의 이러한 입장은 무해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주장하는 유일한 사용인 은혜는 은사로 교회를 풍요롭게 하는 영역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구원 기능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분야에 대한 정통 가르침에 동의한다면, 전체 기독교 세계는 정교회로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합니다. 특히 사도적 지위에 더해 정교회는 유일한 교회, 즉 유일하고 정확하고 구원받는 교회라고 주장하기 때문입니다. 모든 진술, 특히 이런 종류의 주장은 주의 깊게 검토한 후 적절한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기독교에서는 사도 시대부터 모든 종류의 교리적 기반을 연구하는 기준이 복음의 내용과 그 안에 제시된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가르침입니다. 정교회 신학자들과의 어떤 형식의 논쟁은 성경과 함께 정교회 교리에서 성경보다 더 높은 지위를 갖는 신성한 전통의 정경에 호소한다는 사실로 인해 복잡해집니다. 유명한 정교회 신학자 메트로폴리탄 칼리스토스(Ware)는 “신성한 전통: 정교회 신앙의 근원”이라는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정교회 기독교인들에게 전통은 보다 구체적이고 구체적인 것을 의미합니다. 신앙, 에큐메니칼 공의회 법령, 성부들의 저서, 정경, 전례서, 성화상 등... 성경이 전통의 일부라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우리는 비슷한 입장을 가진 상대방과 생산적인 논쟁을 벌일 가능성이 극히 미미하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그러므로 이 작업의 목적은 정통 가르침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설득하려는 의도가 아닙니다. 이 연구는 성경을 가치 측정의 최고 표준으로 받아들이고 전통과 전통을 보조 자료로 받아들이는 기독교인을 대상으로합니다.

사도계승 교리를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로서, 정교회 신학자지난 세기와 현대. 이것들은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정교회 정교회 교의 신학을 주제로 한 작품들과 유럽과 미국의 정교회 신학자들의 작품들입니다. 근본적으로 그들의 견해는 다르지 않습니다. 그들은 모두 전통의 규범에 묶여 있고 거룩한 아버지의 유산을 미래 세대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권한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정교회 교리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를 포함하는 거의 모든 신학 작업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요약사도계승과 신권성사의 이해.

제안된 작업의 방법론은 주로 정교회 자료에서 연구 중인 주제에 대한 자료를 철저히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음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교 분석이 자료는 복음의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주요 부분.

특정 주제를 조사할 때, 누군가의 거짓말을 알아내거나 자신이 옳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편견 없이 질문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자가 무관심한 사람으로 행동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며, 이는 그 자체로 하나님의 뜻을 아는 문제에 유용합니다. 본 연구의 과정은 어디선가 누군가가 성급하게 내뱉은 말들을 연구하거나 기독교 신학의 소소한 부분들을 성찰하는 데만 국한되지 않는다. 사도 계승에 관한 정교회의 가르침은 전 세계 기독교 사역의 진정성과 그 사역에 성령의 은총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 진술은 심각한 것 이상이며 그 진술을 받는 사람들의 권위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더욱 악화됩니다. 정교회의 교의 신학이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정교회 신학자들의 의견을 대변한다는 것은 절대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견해는 종교철학자, 권위있는 과학자, 교부들의 수천년의 노력의 결과로 나타났습니다. 현판의 정교회 교리는 에큐메니칼 공의회와 반대자들에 대한 비판의 테스트를 통과했으며, 역사상 충분한 피를 흘렸습니다. 우리는 41명의 위원 중 27명이 학사 학위를 갖고 있는 러시아 정교회의 성서 신학 위원회의 의견을 경솔하게 거부할 수 있습니까? 현대 정교회의 위대한 신학자 중 한 사람인 프로토프레스비터 미카엘 포마잔스키(Protopresbyter Michael Pomazansky), 미국의 모든 신학교에서 교의학의 주요 교과서로 인정받는 『정통 교의 신학』의 저자의 권위를 우리는 무시할 것인가? 물론, 적절한 주의와 존중을 가지고 상대방의 의견을 고려해야 하며, 이는 초록 주요 부분의 첫 번째 섹션에서 수행됩니다.

1. 정교회의 사도적 계승.

A. 정교회 교의학의 사도 계승에 대한 해석.

사도직 계승에 관한 러시아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의견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과학적 연구“신앙의 성사” 볼로콜람스크 대주교 힐라리온, 총회 성서신학위원회 위원장:

“교회의 사도직은 사도들에 의해 설립되었고, 그들의 가르침에 대한 믿음을 유지하고, 그들의 가르침을 계승하고, 지상에서 그들의 사역을 계속하고 있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사도적 계승은 사도로부터 오늘날의 감독까지 이어지는 끊임없는 안수 사슬(즉, 감독의 직위에 대한 안수)로 이해됩니다. 오늘. 이러한 연속성이 중단된 기독교 공동체는 교회가 회복될 때까지 교회에서 떨어져 나간 것으로 인정됩니다.”

첫째, 위의 인용문은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325년)라고도 불리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승인된 신조에 명시된 교회의 속성 중 하나를 나타냅니다. 우리는 소위 교회의 사도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사도 교회"라는 용어에 대한 정교회 신학자들의 이해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들(최고 12사도와 사도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하는 유일한 사람이며, 최고 사도들과 바울 외에는 누구도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하지 않습니다. 수용된 가르침을 교회의 유산에 전달할 수 있는 능력과 권리. 간단히 말해서, 사도들은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교회 사이의 법적 중개자로 간주됩니다. 그러한 이해의 기초는 성경의 특정 구절에 대한 특별한 해석입니다.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이 편집한 O. 다비덴코프 신부의 “교리 신학”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읽을 수 있습니다. 교회는 사도들의 터 위에 세워졌습니다(엡 2, 20; 계 21:14). 그러므로 사도들은 연대적 의미에서 교회의 기초입니다. 그들은 교회의 역사적 존재의 기원에 서 있었습니다.” 최고 사도들은 한때 주님에 의해 지상 존재에서 제거되었으므로 영원으로 간 최고 사도 대신 특정 조건부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와 교회 사이의 중개 권리를 할당하는 것에 대한 질문이 자연스럽게 발생합니다. 이 결함으로 인해 정교회 신학자들은 첫째로 결함 자체를 "계승"이라는 용어로 지정하고, 두 번째로 사도 계승의 조건과 도식을 정의하여 이를 가르치는 직위로 승격시켰습니다. 따라서 사도 계승 계획은 전임자들이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성례전의 내용뿐만 아니라 수호자가 될 유일한 권리를 물려받은 특정 사역자 그룹의 각 역사적 세대의 기독교인의 존재를 전제로합니다. 이러한 가치를 분배하는 사람. 이 해석에 따르면, 사도직을 계승한 목사들의 직간접적인 통제 없이 복음을 전파하는 것은 합법적인 것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모든 직급의 기독교 봉사자들의 안수는 주어진 역사적 기간에 사도들의 가장 높은 후계자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야 합니다. 사도적 계승은 족장 시대에 장자들의 명단이 편찬된 것과 동일한 체계에 따라 운영됩니다. 이것이 바로 정교회 신학이 교회의 행정 구조와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온전한 형태로 대대로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방식입니다.

법적 문제 외에도 영적인 측면사도적 계승 계획에 있어서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우크라이나 정교회 신학자 O. Davydenkov 신부의 의견에 따르면 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회는 오순절에 사도들을 통해 교회가 받은 은혜로 가득 찬 성령의 은사를 보존해야 합니다. 성령의 은사의 이러한 계승은 성스러운 안수를 통해 전달됩니다. 따라서 사도 교회의 ​​두 번째 측면은 가르침과 성스러운 의식과 예식에서 사도 전통에 충실한 신성하게 확립된 계층의 사도들로부터 지속적인 계승입니다. 교회 구조의 기초에 있습니다.”

성령의 은혜로운 은사는 무엇을 의미합니까? 이것이 믿는 사람들에게 구원과 하나님을 섬기기 위해 성령으로부터 주어진 전부입니다. 사도 계승은 이 은사들을 이 땅에 주는 과정에서 가장 높은 사도들 자신에게 유일한 중재 권리를 부여하며, 따라서 가장 높은 사도들로부터 직접적인 상속을 통해 은혜로 가득 찬 은사 분야에서 중재할 권리를 부여받습니다. 성령은 다음 세대의 사역자들에게 옮겨집니다. 사도 계승 교리에 따르면, 하늘에서 교회에 떨어지는 성령의 은혜로운 은사는 사도 계승 지위를 가진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분배됩니다. 동일한 교리는 최고 사도나 그 직계 후계자로부터 신권 안수 직분의 직접적인 연결 고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모든 목사를 불법적인 대열로 분류합니다. 따라서 은총으로 가득 찬 성령의 은사는 사도직 계승의 직접적인 연결에서 제외된 사제들에 의해 분배될 수 없습니다.

사도적 계승의 사슬로 연결되지 않은 목회자들에 의해 개척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에 의해 인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이유로 주님께 성령의 은혜로운 은사를 받을 수 없습니다.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교회의 가르침에 따르면 사도적 계승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님이 세우신신권 성사를 통해 최고 사도 시대부터 교회의 가르침과 행정 (계층 적) 구조를 보존 할 수있게 해주는 수단으로, 은혜로 가득 찬 성스러운 은사를 전달할 권리를 하나님 께서 부여하셨습니다. 주교 축성(안수)을 통한 성령.

B. 사도 계승 교리 출현의 역사.

정교회 신학자들의 만장일치 의견에 따르면, 사도 계승 교리가 핵심 위치 중 하나를 차지하는 맥락에서 교회에 관한 교리가 출현한 역사적 근본 원인은 반기독교 이단의 급속한 급증입니다. 2세기의 교회. 이번 기회에 힐라리온(트로이츠키) 대주교는 자신의 에세이 중 하나에서 다음과 같이 증언합니다.

교회가 역사적으로 존재한 첫 세기에는 다음과 같은 일이 있었습니다. 전선교회의 본질과 속성에 대한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데 있어 진리에서 벗어난 이단 운동에는 유대교-기독교, 영지주의, 몬타누스주의, 노바티아누스주의, 도나투스주의가 있습니다. 이러한 반교회 현상에 맞서는 교회 지도자들의 문학적이고 독단적인 투쟁은 의심할 여지없이 교회 교리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을 구성합니다. .

일반적으로 이 교리의 발전은 리옹의 이레나이우스(130-202 AD)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이단에 반대함"이라는 논문에서 거짓 지식을 자신의 개인적인 지식보다는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가르침의 권위와 대조하여 소위 보편 교회와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연결한 사람이 바로 그 사람입니다. 사도들과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의 진정한 후계자들. 그리고 리옹의 이레나이우스의 작품에는 교회의 교리로서 사도적 계승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지만, 그러한 생각은 점점 증가하는 이단의 위험에 대한 반대의 이미지에서 추적될 수 있습니다.

성 베드로의 추종자인 로마의 클레멘트(서기 202년 사망)는 사도 계승 개념의 발전에 어느 정도 기여했습니다. 그는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서한을 편집하면서 편지의 별도 부분에서 다음과 같이 강조합니다. “교회의 성직자의 계급은 그리스도에 의해 확립되었습니다. 감독과 집사는 사도로 임명되었습니다.” 계승 개념이 발전한 이유는 다시 교회의 불안이었으며, 이를 억제하려면 심각한 법적 지원이 필요했으며 나중에 사도 계승의 교리가되었습니다.

이단자들의 공격을 받는 교회의 미래 운명에 대한 우려는 모든 교회의 신앙 일치를 위해 열심이었던 이레나이우스와 동시대에 살았던 테르툴리아누스(서기 155-230년)에 의해 표현되었습니다.

그러나 3세기 중반에만 카르타고의 키프리안(서기 210-258년)이 사도 계승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현대 정교회의 교리에 제시된 형식에 더 가깝게 만들었습니다. 그는 교회의 일치와 그 가르침에 대한 열정의 폭발로부터 영감을 얻었습니다.

“주교직 자체가 하나이고 분할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우리는, 특히 교회를 주재하는 주교들이 이 일치를 확고히 지지하고 옹호해야 합니다.” .

그 후 밀레비아의 Optatus (315-386)와 Augustine (354-430)은 영적 활동에서 사도 교리 발전에 참여했습니다.

2. 복음의 빛에 따른 사도적 계승.

주요 부분의 첫 번째 섹션 내용에서 프로젝트정교회의 사도 계승 교리에 대한 간략한 개요가 제시되었습니다. 이 검토에 따르면 정교회 신학자들에 따르면 이 가르침이 출현한 근본 원인은 2세기와 3세기에 이단 가르침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리옹의 이레나이우스, 테르툴리아누스, 카르타고의 키프리안, 어거스틴 등과 같은 신학자들로 대표되는 교회 목사들의 반응은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에서 소위 "신앙의 상징"을 선포한 것이었습니다. 신조의 맥락에는 교회 사도직의 교리가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사도 계승에 대한 이해가 이어집니다. 그리하여 기독교 교회의 일부 원로 목사(주교)들은 참된 교회라 불릴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얻었고, 이후 역사에서 모든 기독교 교회의 활동을 평가하는 기준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그러한 결정은 한 가지 역사적 상황이 아니라면 과장된 자존심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니케아 공의회는 313년 종교적 관용에 관한 소위 밀라노 칙령이 발표된 지 12년 후, 니케아 공의회의 후원으로 운명적인 결정을 내렸습니다.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밀라노 칙령의 결과에 따라 기독교는 곧 국가적 지위를 얻게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종교적 기독교 포럼의 결정은 다음과 같은 지위를 얻었습니다. 주법그리고 로마 카이사르의 후원.

따라서 첫 번째 섹션에서 사도 계승 문제가 정교회의 입장에서만 고려되었다면 두 번째 섹션에서는 이 교리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수행될 것입니다. 이 시험은 과목의 저자가 개신교의 신학적인 입장을 대표하고 사도적 계승이 복음주의 기독교의 관점에서 고려되기 때문에 독립적이라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연구 결과를 얻으려면 시험 중에 최소한 세 가지 도구(조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첫째-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둘째-상식(자연적, 자연적) 감각, 셋째-결과(열매)에 대한 평가 사도 계승 교리에 관한 것입니다.

A. 신약의 교리와 정신에 대한 사도 계승 교리의 일치.

사도 계승 교리는 엄격한 교회의 행정 구조에서의 행동을 전제로 합니다. 계층적 사다리. 유명한 정교회 신학자 M. Pomazansky는 다음과 같이 정교회의 입장을 나타냅니다. “... 교회의 계층 구조는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직접 세우셨으며, 교회의 존재와 분리될 수 없으며 사도 시대에 3급 조직이다.” 생각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것처럼 저자는 사도 행전의 두 텍스트 인 6ch를 예로 들었습니다. 2-6 본문 - 사도들이 일곱 목사를 임명하는 것에 관한 내용과 14장. 23본문 - 사도 바울과 바나바가 리스트라와 이고니온과 안디옥에서 장로들을 임명한 일에 관한 것입니다.

사도 계승 교리의 계층 구조 .

먼저, "계층구조"라는 용어를 사용된 의미로 정의해 보겠습니다. 둘을 연결하기 그리스어 단어 hieros-sacred와 Arche-power를 사용하면 "신권" 또는 계층 구조라는 용어를 얻게 됩니다. 계층구조(hierarchy)라는 용어는 5세기에 의사 아레오파고스주의자인 디오니시우스(Dionysius)가 그의 논문 "On"에서 처음 소개했습니다. 천상의 계층" 및 "교회 계층 구조에 대해." 그때부터 지금까지 계층 구조는 서비스 순위의 순서를 의미하며, 종속 순서에 따라 가장 낮은 순위에서 가장 높은 순위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시대에 계층적 분열이 일어났습니다. 인간 사회사회적, 종교적 환경 모두에서 분명하게 드러났습니다. 마태복음 18:1 “그 때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 이르되 천국에서는 누가 크니이까” 마가복음 9:34“그들이 잠잠하니 이는 길에서 누가 가장 큰 자인지 서로 다투었기 때문이라.”제자들은 모든 인간관계가 위계에 따라 세워진 세상에서 왔기 때문에 교회 위계를 세우는 원리를 그리스도에게서 찾으려고 노력했다. 명예의 장소). 교회 내 관계에 대한 정통 해석에 따르면, 그리스도께서는 제자들을 특정 계층 적 수준 (적어도 세 명의 감독, 장로, 집사)으로 나누어야했지만 어떤 이유로 그렇게하지 않으 셨습니다. 오히려 주님께서는 제자들에게 세속 사회에서 실행되는 것과 본질적으로 반대되는 행정 구조를 선포하셨습니다. 마가복음 9:35 “그리고 앉으사 열두 제자를 불러 이르시되 누구든지 첫째가 되고자 하면 뭇 사람의 끝이 되며 뭇 사람을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하리라 하시니라.”" 이러한 형태의 관계는 클래스로 구분되는 모든 종류의 계층 구조를 완전히 배제합니다. 상상할 수 있니 정교회 신부, 그리스도의 말씀이 그에게 남아 있도록 강요하는 이미지, 즉 종의 이미지에서 계층 적 사다리의 가장 높은 수준을 대표합니다. 이에 대한 예가 사도 바울입니다. 그는 사도로서 기름 부음과 사도로서의 부르심에 있어서 모든 사람을 위한 참된 종이었으며, 그가 준엄함을 보이면 그것은 단지 말의 형태에 불과했습니다. 그들이 스스로를 지원하는 사치품과 풍요로운 세상 상품이 무엇인지는 비밀이 아닙니다. 고위 관료정교회와 이 모든 것은 교회 통치의 계층적 체계의 결과입니다. 계층 적 분열은 가장 낮은 수준의 정교회조차도 교회 교구민에 대한 사랑을 동등하게 실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이 사랑을 표현할 수 없고, 겸손할 수 없고, 낮은 지위에 만족하거나 자신의 무의미함을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 아닙니다. 인간은 능력이 있지만 교회에 부과된 계층 구조는 목사가 그리스도의 말씀에 따라 종이 되는 것을 결코 허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계층 구조는 영에 반대되는 육신의 성취이자 열매이기 때문입니다. 교회 구조에 존재하는 목사 계급을 낮은 계층에서 높은 계층으로 나누는 것은 목사들의 직위를 높이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부패 계획을 세우기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이에 대해 많이 이야기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큰 보좌의 상속자이신 그리스도 자신은 동쪽이 서쪽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건전한 동기에서도) 권력과 지배에 대한 욕망에서 멀리 떨어져 계셨습니다. 계층 구조에 대한 그리스도의 태도는 구약의 유형에 매우 명확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사야 42:1-3 “보라, 내 손으로 붙잡은 나의 종, 내가 택한 자, 내 마음에 기뻐하는 자라. 내가 그에게 내 영을 부어 주리니 그가 민족들에게 심판을 선포하리라. 그는 외치지 아니하며 목소리를 높이지 아니하며 그 소리가 거리에 들리지 않게 하며 상한 갈대를 꺾지 아니하며 꺼져가는 심지를 끄지 아니하며 진리대로 심판하리라."

*이사야 53:2-3 “그는 씨처럼, 마른 땅에서 나온 새싹처럼 그분 앞에 나오셨기 때문입니다. 그 안에는 겉모습도 위대함도 없습니다. 우리가 그분을 보았지만 그분께는 우리를 그분께로 끌어당길 만한 어떤 모습도 없었습니다. 그는 멸시를 받아 사람들 앞에서 낮아지고 간고를 많이 겪었으며 고통을 아는 자라 우리가 그에게서 얼굴을 돌이켰으나 그는 멸시를 당하였고 우리도 그를 멸시하였느니라.”

그리스도께서는 왜 멸시를 받으셨는가? 왜냐하면 그분은 그분의 사역에서 그분의 우선권과 그분의 능력의 범위를 강조하는 계층 구조를 구축하지 않으셨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만일 그리스도께서 세속 율법의 원칙에 따라 사람들과의 관계를 구축하셨다면, 그분은 결코 어린양으로서의 운명을 완수하실 수 없었을 것입니다. 따라서 어린 양은 계층 정신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참된 교회의 개요는 매우 단순하며 그 구조는 사도행전이라는 책에 나와 있습니다. 성령 강림 이후 교회의 건축은 매우 간단했습니다. 사도들은 성령으로 충만하여 복음을 전했고 사람들은 회개를 통해 이 말씀을 듣고 받아들였습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세례를 받고 집이나 기도실에 소그룹으로 모였습니다. 그곳에서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은 설교자들은 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에서 구원의 길을 설명했습니다. 감독과 장로는 어떠한 위계제도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직함의 의미에 따라 장로와 감독, 즉 관리인으로서 교회를 섬겼습니다. 주님께서는 아무에게도 교회를 다스리거나 다스리라고 명령하지 않으시고, 자신의 무기고에 있는 사람들을 감독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말씀, 성령의 은사와 주인이 양 떼를 맡은 겸손한 종의 지위. 따라서 사도행전에는 목사들을 더 낮은 계층과 더 높은 계층으로 나누는 체계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사도 바울은 주님으로부터 사역의 축복을 받았고, 이 사실은 개인적으로 그리스도를 알았던 선임 사도들에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원칙적으로 바울이나 아볼로처럼 설교자가 등장하면 사도들은 자신들이 설교하는 교리의 내용에만 관심을 가졌습니다. 만일 그 가르침이 참이라면 설교자들은 인정을 받고 교제의 손길을 받게 될 것입니다. 누구든지 거짓 가르침을 전하면 사도들은 이에 대해 설명하고 교회가 이단을 받아들이지 말라고 권고했습니다. 이단으로부터 교회를 보호하기 위해 행정적 방법을 사용한 예는 사도행전에 없습니다. 사도행전 13장에서는 안디옥 교회에서 성령께서 목사들에게 이방 나라들을 구원하는 선교 사업을 하라는 계시를 주셨는데, 이 사역은 최고 사도들과 협력하지 않았음을 알려 줍니다. 그 후, 이 문제는 예루살렘에서 제기되었지만 안티오키아 선지자와 교사의 행동의 합법성에 관한 것이 아니라 교회의 이교도에 대한 원칙적인 태도에 관한 것입니다. 사도행전에도 없고 공의회 메시지, 또한 바울의 서신에는 사도들이 교회를 세우고 은혜로 가득 찬 성령의 은사를 분배할 권리를 독점했다는 암시조차 없습니다. 참된 사도, 교사, 감독은 누군가가 개인적인 축복 없이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하는 것을 질투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이단자들을 훈계하려 하거나 그들에게서 멀어져 의사소통을 방해했습니다. 사도 바울은 서신에서 설교자들과 교사들에게 말다툼을 하지 말고 무의미한 논쟁에 참여하지 말라고 반복해서 권고했습니다.

사도 계승 교리는 이단과 이단의 영향으로부터 교회를 보호하기위한 것이며, 언뜻보기에는 한 가지 중요한 점을 제외하고는 비난받을만한 것이 없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이단자들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씀하셨으며, 이단들로부터 교회를 보호하라고 어떻게 권고하셨는가?

*누가복음 21:8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속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 와서 내가 그라고 하리라. 그 때가 가까웠으니..."

그래서 그리스도께서는 거짓 선지자와 교사들이 올 것이라고 직접 말씀하셨습니다. 그렇다면 그는 제자들에게 이에 대해 무엇을 권고하고 있으며, 교회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첫째, 그리스도의 말씀이나 사도들의 서신에는 교회를 보호하려는 생각이 전혀 발전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교회는 그리스도 자신에 의해 세워지고 성령에 의해 창조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제자들이 해야 할 일은 누가복음 21장 전체의 맥락에서 직접 연설로 설명됩니다.

즉, 자신을 돌보십시오(의미 없는 싸움에 참여하지 마십시오).

자신이 끌려가거나 유혹당하는 것을 허용하지 마십시오.

역사의 흐름을 주의 깊게 따르고 그 흐름을 그리스도의 예언과 비교하십시오.

너희 원수들과 육체로 고문하는 자들을 대적하지 못할 뿐 아니라 그들 앞에서 너희를 의롭다 하는 말씀은 생각지도 말라 이는 주께서 적절한 시간네 입을 말로 채우라.

제자들 중 일부는 배반당하고 일부는 죽임을 당할 것입니다.

제자들은 그리스도의 이름 때문에 미움을 받을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친히 그들의 안전을 지켜 주실 것입니다.

구원을 받으려면 인내가 필요합니다.

이것은 제자들보다 교회를 더 염려하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권고이지만, 동시에 가르침을 보존하고 이단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교회에 특별한 계층 구조를 구축하는 것에 대한 그의 말씀에는 힌트가 없습니다. 이 예언들은 말합니다. 성령께서 모든 것을 가르치신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세대의 사람들이 교회에 모든 것을 가르치는 성령세례를 경험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사도 계승 교리에 규정된 대로, 특별한 행정 방법을 통해 대대로 그리스도의 가르침이 보존되는지 감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성 바울이 자신에게 보낸 편지에서 설교한 신약성서의 원리 히브리서 8:10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에 세울 언약은 이것이니 곧 내가 내 법을 그들의 생각에 두고 그들의 마음에 이것을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 여호와의 말이니라” ." 그리고 그리스도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자신을 교사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에게 교사는 그리스도 한 분이 계시지만 여러분은 형제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땅에 있는 사람을 아버지라고 부르지 마십시오. 여러분의 아버지는 하늘에 계시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멘토라고 불리지 마십시오. 당신에게는 오직 한 분 멘토, 곧 그리스도가 계시기 때문입니다. 너희 중에 가장 큰 자는 너희 종이 될 것이다." *마태복음 23:8-11 . 주님께서는 언젠가 복음의 모든 교리를 하나의 교리로 통합하여 대대로 전달할 특별한 교사와 멘토가 필요하지 않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와 동일한 교사와 멘토의 역할은 영향력 있는 정교회의 신학자들과 정교회의 교부들이 맡았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개인적인 일을 주님의 유일하고 올바른 가르침으로 선포하고 이러한 일을 신성한 전통이라고 부르며 그 의미를 성경 본문과 동일시했습니다. 그리고 사도 계승 교리는 이 모든 글의 정당성을 법적으로 확증해 줍니다. 스스로를 거룩한 아버지, 통치자, 제사장이라고 부르는 반기독교 사상을 지닌 자들은 이것을 하지 말라는 그리스도의 직접적인 명령을 조롱합니다.

따라서, 해당 금액은 아닙니다. 많은 일사도 계승 교리에 의해 정당화되는 정교회의 구조에서 직업 사다리를 건설하기 위한 계층적 체계가 복음의 정신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말과 명령에도 크게 어긋난다는 것을 복음에 기초하여 증명합니다. 주 예수 그리스도의 .

성스러운 안수를 통해 은혜로 가득 찬 성령의 은사가 계승됩니다.

O. 다비덴코프(O. Davydenkov) 신부의 정교회 교의 신학의 또 다른 인용문: “사도들이 교회에 전수한 가르침에 더하여, 교회는 성령의 은총이 가득한 은사를 보존해야 합니다. 오순절 날에 영접을 받은 사도들의 사람. 성령의 은사의 이러한 계승은 신성한 성품을 통해 전달됩니다...”

정교회 신학자들에 따르면 성령의 은혜로운 은사는 사도들이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받았으며 교회 봉사의 세 가지 영역을 다룹니다. 첫째, 기독교 봉사와 설교, 둘째, 교회에서 신성한 의식의 수행 ( 세례, 회개, 친교, 기름 부음, 기름 부음), 셋째, 교회 통치의 은사 (신권 안수, 형벌 부과)입니다. 교회가 성령의 은혜로운 (초자연적) 은사 덕분에 움직이고 성장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러나 교회에서 이러한 은사를 분배하는 원칙에 관한 사도 계승 교리의 진술은 얼마나 합법적입니까? 원칙은 두 기둥에 세워졌습니다. 첫 번째 기둥 – 사도들은 성령으로 세례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은혜의 은사를 자신의 재량에 따라 처분할 수 있는 유일한 권리를 주님으로부터 받았고, 두 번째 기둥은 이러한 은사로 다음 세대를 축복하기 위해 사도들에 의해 성임된 모든 주교의 유전적 권리입니다. 정교회 교리에 따르면, 신권에서 가장 높은 사도들과 직접적인 계보 관계를 맺고 있는 좁은 범위의 교회 목사들만이 은혜로 가득 찬 성령의 은사를 물려받을 권리를 부여받습니다. 사도 계승 교리의 이러한 특징에 대한 논증은 너무 모호하고 피상적이어서 가벼운 비판조차 견디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성명서의 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텍스트에 제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은혜의 은사의 계승을 고려할 때, 저는 다음과 같은 복음 본문을 예로 들어 반론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요한복음 3:8 “성령은 원하는 곳에서 숨을 쉬시니 네가 그 음성을 들어도 어디서 오며 어디로 가는지 알지 못하나니 성령으로 난 사람은 다 이러하니라.”

*요한복음 7:37-39 “명절 끝날 큰 날에 예수께서 서서 외쳐 이르시되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사람은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 이는 그를 믿는 자들이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 예수께서 아직 영광을 받지 않으셨으므로 성령이 아직 그들 위에 계시지 아니하였더라.”

첫 번째 본문이 신성의 위격으로서 성령의 절대적인 주권을 선포한다면, 다음 본문에서 예수님은 성령이 사람에게 오시는 본질을 설명하고 여기서는 성령의 은사를 받기 위한 기본 조건을 분명히 나타냅니다. 은혜는 믿음이다. 오직 믿음으로만 받는 것, 즉 주는 것이 가능하다 무료 이용, 이전에는 은사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인간의 본성에 속하신 성령 자신을 갈망했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성령이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라고 말씀하시며 은혜의 은사를 받는 과정과 성령을 만나는 거룩한 예식을 분리하셨는데, 이 두 과정은 분리될 수 없습니다. 어떻게 더 높은 형태신성 모독은 성령이 사람에게 강림되는 과정에서 중재자가 되려는 누군가의 의도로 인식 될 수 있습니다. 사도들은 죄 용서를 위해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신자들에게 가르치고 세례를 주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그러면 신자들에게 성령의 은사를받을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행 2:38). 누구에게서 받나요? 사도들입니까, 아니면 그 후계자들입니까? 아니요! 성령은 인간이 아무리 완전하더라도 중보에만 국한되지 않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만 보내질 수 있습니다. 성령의 은혜로운 은사를 약속하는 성경의 핵심 구절 중 하나를 인용하지 않으면 이 주장은 불완전할 것입니다.

*요엘 2:28“그 후에 내가 내 영을 모든 육체에게 부어 주리니…

다른 많은 예언과 마찬가지로 이 예언에서도 사람에게 성령을 부어주는 주도권은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주 하나님께만 속한다는 것이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 *요한복음 14:16“내가 아버지께 구하겠으니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영원히 너희와 함께 있게 하시리라”그리고 주 하나님께서 친히 그의 영을 모든 육체, 즉 그의 재량에 따라 모든 사람에게 부어 주실 것이라고 더욱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성령이 사람들에게 선택적으로 강림할 것이라고 잠시 가정한다면, 채우는 그릇에 대한 그분의 평가 기준은 고대부터 알려져 왔으며 그 목록은 하나님이 택하신 자들의 운명과 성격에서 쉽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 아벨과 노아, 아브라함과 족장들, 모세와 여호수아, 다윗과 사무엘, 엘리야와 엘리사, 이사야, 예레미야 등이 이에 속합니다. 가장 원시적인 사고 방식조차도 선거 분야에서 특정 패턴을 구축하면 최고 중의 최고가 선출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이 상황에서 정교회 신학은 은혜의 은사를 물려받을 권리를 위해 선택된 후계자 목록에 공개적으로 죄가 많고 평범하며 자신의 일에 무관심한 사람들을 인정하는 외교적 책략을 취합니다. "의 또 다른 인용문 신앙의 성사" 메트로폴리탄 힐라리온: “교회의 가르침에 따르면 특정 성직자의 도덕적 불완전성은 그가 수행하는 일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성찬을 집행할 때 그는 단지 하나님의 도구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도구, 증인 및 종이 됨 , 제사장은 가능한 한 순수하고 흠이 없어야하며 죄에 연루되지 않아야합니다 ». 메트로폴리탄은 신부가 부분적으로 흠이 없는 것, 즉 특정 악덕과 심지어 도덕적 결함을 가질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그리고 사도들은 주교에게 무조건적인 성실성과 도덕적 완전성을 요구합니다(딤전 3:2; 딛 1:6; 딤후 2:21). 정교회 신학이 충성스러운 이유는 매우 간단합니다. 먼저 그들은 의심스러운 평판을 가진 주교들로 교회를 가득 채웠고 나중에 야 기정사실을 바탕으로 현재 상황에 맞게 신학 교리를 조작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문제는 사제들이 불완전하고 죄가 있다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가르침이 이것에 대해 비난할만한 것을 보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주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의 말씀의 직접적인 지시를 따르기만 한다면 누구를 상대하고 누구를 보내 봉사하도록 신경쓰지 않으신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부주의하고 죄 많은 감독들이 하나님의 이름을 모독할 이유를 제시합니다. 상류 성직자의 운명을 고려한 "기독교 교회의 역사"에서 안드레 밀러는 기독교인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용납 할 수없는 종교 귀족의 부패 수준에 대한 수십 가지 예를 제공합니다. 죄 많은 평신도. 사도 계승 교리에는 칭의가 숨겨져 있었습니다.

은혜로 가득 찬 성령의 은사를 받고 분배할 유일한 권리에 대한 정교회 신학자들의 가정과 관련하여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까? 이것은 더 이상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의 육신적인 생각의 행동이 아니라 복음과 그리스도 자신에 반대되는 영, 즉 적 그리스도의 영의 행동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B. 사도적 계승과 상식.

우리가 변증적인 야망을 버리고 교리 신학 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고 철학적 깊이를 이해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독립적 검토 수준에서 정교회의 사도직을 고려한다면 평가로 전환해야합니다. 관심없는 당사자의. 이것은 평범한 교회 회원의 의견일 수도 있고, 숙련된 역사가의 의견일 수도 있고, 일상의 경험에 현명하고 모든 것을 고유한 이름으로 부르는 거리의 사람의 관점일 수도 있습니다.

정교회에서 가장 뛰어나고 상징적인 인물 중 하나는 로마 황제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272-337)로, 교회에서 사도와 동등한 성자라는 칭호를 받았습니다. 이것은 정교회와 천주교 신학자들의 의견이며 논쟁의 여지가 없습니다.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승인된 종교적 관용에 관한 법률을 로마 제국에서 채택하는 데 기여한 사람이 콘스탄티누스 대제였습니다. 그러나 사도와 동등한 성도가 이전에 교회 역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실제로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교회와 포럼을 통치하면서 생애 말기에 회개를 받아들였다는 사실을 모든 사람이 아는 것은 아닙니다. 제국. 역사가들은 그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콘스탄티누스가 기독교로 개종한 것은 막센티우스에 맞서 투쟁하던 시기에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313년 밀라노 칙령은 기독교를 동등한 종교로 인정했습니다. 그리하여 국교로 확립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교회 문제, 특히 콘스탄티누스 시대 이후로 흔해진 교회 분쟁에 대한 국가의 개입은 교회 국가를 만들고 도구로 만들었습니다. 정치 세력» . 325년에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한 사람은 콘스탄티누스였으며, 이 공의회는 사도직과 같은 교회의 특성을 확인하면서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채택했습니다. 종교 사상가이 사건에서 하나님의 섭리를 찾을 것이며 냉철한 분석가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것입니다. 콘스탄틴은 영향력의 전반적인 규모를 사용했습니다. 기독교 가르침거칠고 부도덕한 이교도 문화를 건강한 문화로 변화시키기 위한 인간의 삶의 철학에 관한 것입니다. 그의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콘스탄티누스는 사도들의 가르침이 담긴 참된 교회에 반대하는 기독교 목사들을 이용했습니다. 사도들의 추종자들은 결코 그러한 타협을 하지 않았을 것이며, 이교도 통치자와 회심하지 않은 통치자의 권력에 스스로 굴복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참교회와 창조의 선봉이 된 종교철학자 집단의 갈등 문제 주립 교회, 황제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배교자들을 합법화하고 반대자들의 행동을 비난하기로 결의했습니다. 이 특정 사고 방식의 진실성에 대한 증거는 믿지 않는 콘스탄티누스와 그의 어머니 헬렌에 의해 세례를 받은 로마 제국의 유사 기독교의 후속 역사입니다. 헬렌은 나중에 사도와 동등한 성인이라는 칭호로 시성되었습니다. 이해할 수 없는 장점으로. 이 이야기의 모든 것 날카로운 모서리그리고 탄생한 “새 교회”와 회심하지 않은 지도자들의 불일치의 거칠기는 사도 계승 교리의 도움으로 다듬어지고, 소위 “신성한 전통”은 이 모든 추악함 아래에 긍정의 도장을 찍습니다.

그다지 흥미로운 것은 정통 기독교의 기원에 대한 역사가들의 견해입니다. 고대 러시아'. 요인고대 러시아의 세례에서는 의심할 여지없이 키예프 왕자 블라디미르 대왕(980-1014)이 고려됩니다. 블라디미르 대왕은 사도와 동등한 성자로 러시아 정교회의 역사에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세속 역사가들은 왕자 자신의 세례와 미래의 기독교화에 대한 감동적인 그림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교도 루스'고대 연대기에 숨겨진 사실을 바탕으로 건전한 사고의 프리즘을 꿰뚫어 보세요. 유명한 러시아 작가이자 역사가인 N.M. Karamzin은 "러시아 국가의 역사"에서 이 작품의 9장을 블라디미르 왕자의 성격과 소위 Rus의 세례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작품의 내용을 통해 대공은 세례 전후 모두 잔인하고 권력에 굶주리고 여자를 사랑하는 남자로 알려졌음이 분명해졌습니다. 고대 연대기에는 왕자가 회개하고 자신의 죄성을 깨닫고 죄의 속죄를 믿고 다른 사람이되어 거듭났다는 단어는 단 한 마디도 없습니다. 대공의 삶의 열매로 판단하면 그는 동쪽이 서쪽만큼 기독교 신앙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또 다른 것은 불분명합니다. 블라디미르 왕자의 성격 중 어떤 특성이 정교회의 지도자들이 이 사람을 시성하고 그에게 사도와 동등한 성자의 칭호를 부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했습니까? 시성자들 자신은 거룩함의 표준과 사도적 신앙의 위업에 대해 조금도 모르는 것 같습니다. 이 이야기에 대한 상식은 자연스러운 질문을 던집니다. 그러한 과정 뒤에는 무엇이 있고 누가 있습니까? 대답은 질문만큼 간단합니다. 이 모든 것 뒤에는 인간의 이기심과 뻔뻔함이 드러나 있으며, 이는 기독교 성소를 모독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위해 영혼을 바친 사도들을 기억하는 길을 열어줍니다.

그래서 판결에 따르면 상식결론 자체는 한때 사도 계승에 관한 정통 교리가 지적인 사람들에 의해 개발되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기독교 가치이기적인 목적을 위한 기독교 문화. 이에 정통 신학자들은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원칙에 따라 행동합니다.

마지막 부분

이 연구의 목적은 사도 계승에 관한 정교회의 가르침이 신약성경의 교리 및 그 정신과 일치하는지 조사하는 것입니다. 이 작업의 부록으로 다음과 같은 매우 중요한 하위 항목을 하나 더 추가하면 최종 결론이 더욱 설득력 있게 보일 것입니다.

A. 사도 계승에 대한 정교회의 가르침이 기독교 전체에 미친 영향.

기독교 교리의 종류, 형식, 내용이 어느 정도든 사람들의 세계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가르침은 사람들을 가르치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설득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사도 계승 교리의 맥락에서, 정교회가 유일하게 참된 주제를 직간접적으로 계속 유지하는 가운데, 기존의 모든 기독교 종파에 대한 저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도적 계승의 부재에 대한 진술도 있습니다. 그들 가운데 은혜로 가득 찬 성령의 은사가 있습니다. 이 가르침은 정교회 교리 신학에 관한 모든 교과서에 명시되어 있으며 현대 과학자를 포함하여 권위 있는 정교회 신학자들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수백만 명의 정교회 신자들이 정교회와 정교회 신권- 이것은 기독교에서 유일하게 진리를 표현한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정교회 신학자들과 다른 신학자들 사이에 눈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대결이 발생합니다. 기독교 종파. 학문적 논쟁 수준의 적대관계가 공개적인 적대감과 상호 비방의 수준으로 나아가는 경우가 많다. 정교회 세계. 예: Zaporozhye에 있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우크라이나 정교회 신부는 머리에 저주를 걸었습니다. 키예프 총대주교청 Philareta. 저주는 2016년 3월 20일 중보기도 대성당 예배 중에 선포되었습니다. 불경건한 대의에 헌신하고 개인의 안녕을 위해 부정한 모임의 우두머리로 임명되었으며 자신을 키예프의 총대주교와 그의 추종자들 모두라고 선언한 악랄한 미하일 데니센코 - 파문" 필라레트 총대주교에 대한 이 저주는 1997년 2월 21일 모스크바에 있는 러시아 정교회 주교 협의회에서 분열 활동을 위해 선언되었으며, 그 이후로 교회 정경에 따르면 이 저주는 매년 정기적으로 선언되었습니다. 저주의 이유는 우크라이나의 일부 교회가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으로부터 독립을 얻으려는 의도였으나, 사도 계승 교리에 기초한 정교회의 정경은 그러한 자유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주요 종교 단체들 사이에 고의적으로 적대감을 조장하면 어떤 결과가 예상될 수 있습니까? 가장 끔찍한 결과는 일반 사람들이 보기에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분에 불명예를 돌리는 것입니다. 주된 이유이러한 적대감은 정경과 교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제들이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싸운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정통 신앙뿐만 아니라 기독교 신앙 전체가 불명예를 당하게 되어 죄인들이 교회와 그 목사들을 신뢰하지 않을 이유를 갖게 됩니다.

정교회 신학자들은 정교회 규모의 혐오에만 국한되지 않고, 그것만으로도 충분할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사도 계승 교리의 효과를 전 세계 기독교로 확장합니다. 모든 공격자들의 "최선의 방어 형태는 공격이다"라는 고대 원칙에 기초하여,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의 수호자이자 영감을 주는 사람들은 사도 계승 교리의 화살로 세계 기독교의 종교 조직을 주기적으로 꿰뚫습니다. 공격적인 형태로 그들은 모든 반대자들에게 예외 없이 예수 그리스도 교회에서 그들의 위치와 중요성을 지적합니다. 한때 정교회 외부의 모든 기독교 종파에 부끄러운 배교라는 낙인을 찍은 주요 정교회 신학자들은 소위 "전체주의 파괴 종파"의 목록을 계속 확장하고 복제하고 있습니다.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교회에서 이 활동은 교과서 “종파 연구”의 저자인 드보르킨 교수가 주도했습니다. 전체주의 종파'는 러시아 정교회의 모든 교육 기관에서 사용됩니다. 과학 회의에서 정교회 변증론자들에 의해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전체주의 종파 목록에서 일부 복음주의 기독교 협회뿐만 아니라 수많은 정교회도 사탄 숭배자 및 동양 종파와 동등한 위치에 있습니다.

그러나 이 교리의 요구 사항이 보편 교회의 형식으로 충족되기 시작하면 사도 계승 교리의 가장 극적인 결과가 미래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전 세계 정교회를 하나의 대성당으로 통합함으로써. 이 전망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으며 하나의 세계 정부 아이디어 실현과 병행하여 급진적 인 발전 상태에 있습니다. 모든 세계 정교회를 하나의 분할할 수 없는 구조로 통합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면 그러한 심각한 수준의 대화도 없을 것이며 이 미래 구조에서 패권을 위한 투쟁도 없을 것입니다. 조만간 그들은 합의에 도달할 것이며, 세계의 모든 기독교 종파를 (적어도 법적 형식으로) 단일 세계 구조인 보편 교회로 통합하려는 아이디어의 구현이 결승선에 도달할 것입니다. 낮은 형태가 더 높은 형태로 통합되는 각 단계에서 반대자들의 전체 질서가 논쟁 분야에서 사라지고 그들과 함께 비판과 비난의 건전한 목소리도 사라집니다.

따라서 사도 계승 교리는 잘 알려진 니케아 공의회(325)에서 채택된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의 문자와 정신으로 모든 세계 기독교 지도자들의 눈을 직간접적으로 향하게 합니다. 이 포럼의 편지에는 성령의 은혜로 가득 찬 은사를 전달하는 신권 안수의 끊임없는 사슬에서 연결되는 기독교 목사들만이 합법성의 형식에 속한다고 직접적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요구 사항을 어떻게 충족할 수 있습니까? 과거와 현재의 정교회 신학자들에 따르면, 모든 기독교 교회는 정교회 관할권에 복종해야 합니다. 이 경우 세계 기독교 조직은 로마 주교라는 직함을 가진 단일한 조직과 단일한 지도자를 갖게 될 것입니다. 니케아 공의회 정신 325 이 회의의 영감자이자 아버지는 회심하지 않은 이교도 황제 콘스탄티누스였다는 것을 상기시킵니다. 과거와 현재를 비유하자면, 세계 기독교에서 일치를 이루는 창시자는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전 마지막 때에 세계적인 명성과 무한한 영향력을 지닌 회심하지 않은 이교도일 수 있습니다. 좋은 의도로 만들어진 내용이 무해한 교리는 지상에 적 그리스도 왕국이 세워지는 기간 동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B. 사도 계승 교리에 대한 복음주의 기독교인의 태도.

기독교 신학 분야의 모든 가르침은 그 안에 합리적인 진리의 입자가 존재하는지 연구할 가치가 있으며, 만약 존재한다면 합리적인 사용에 장애물이 없습니다. 비록 이 일그리고 정교회 신학자들의 입장에 대해 다소 날카로운 비판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도 계승이라는 개념 자체에는 이기적인 생각의 숨겨진 의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순수한 긍정적인 의미. 결국 교리의 창시자 인 로마의 클레멘스, 리옹의 이레나이우스, 테르툴리아누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등은 영지주의의 이단에 저항하고 교회의 일치를 보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지금까지 사도 계승이 이러한 목표만을 추구했다면 가혹한 논쟁의 대상이 없었을 것입니다. 복음주의 기독교인들 사이에 사도 계승 교리의 명백하거나 숨겨진 부정적인 측면이 없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이에 대해 생각하고 가장 높은 사도들이 변치 않는 유산으로 남긴 참된 사도적 단순성과 사심 없음을 보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용된 문헌 목록입니다.

  1. 성경, 구약과 신약의 정식 서적, 러시아어 번역.
  2. A. Miller “기독교 교회의 역사” 1권, ed. GBV, 1994년
  3. A.L. Dvorkin “종파학”, http://azbyka.ru/sektovedenie
  4. Hilarion (Troitsky) "신조의 9번째 구성원에 대한 역사적-독단적 사과의 필요성에 대해", http://azbyka.ru/otechnik/ilarion_Troitskii
  5. 메트로폴리탄 힐라리온 “신앙의 성사”, 상트페테르부르크, 에디션. "알레테아", 2001
  6. 메트로폴리탄 칼리스토스 “신성한 전통”, http://apologia.hop.ru/uer/uer_pred.htm
  7. M. Pomazansky “정통 독단 신학”, http://www.e-reading.club/bookriader.php/70752/protopresviter_Mihail_Pomazanskii-Pravoslavnoe_Dogmaticheskoe_Bogoslovie.html
  8. N.M. Karamzin "러시아 국가의 역사", 9장 "Grand Duke Vladimir", http://www.kulichki.com/inkwell/text/histori/karamzin/kar01_09.htm

보고하다 IX 러시아 정교회와 독일 복음주의 교회 대표자들의 인터뷰.

I. 교회 생활의 성찬적 측면은 매우 광범위합니다. 여기에는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기초 위에 예수 그리스도를 모퉁이 돌로 두시고"(엡 2:20) 세워진 교회에서 행해지는 모든 신성한 의식이 포함됩니다. 무엇보다도 성령의 은혜는 그 정도와 정도에 있어서(고전 15:41) 사도교회가 모든 신자들에게 성화와 치유와 신화를 위해 주신 성사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님의 은혜가 의심의 여지없이 신자들에게 명백하게 작용하는 물 봉헌 의식이나 수도원 압류를 언급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고대 교회 저술가들 사이에서 우리가 성찬을 열거할 때 나중에 성찬이라고 부르지는 않았지만 이 이름으로 일곱 가지 주요 의식 중에서 구별하기 위해 성스러운 의식을 자주 발견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 아닌가? 그러나 고대 교회에 내재되어 있던 동일한 의미, 의미, 심지어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많은 의미로 교회에 남아있었습니다. 이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요한그리스도인에게는 그것이 그의 믿음을 더 깊은 내용으로 채워줌으로써 성령에 의한 그의 더 큰 성화에 기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인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모든 그리스도인의 “왕 같은 제사장 직분”(베드로전서 2:9)과는 다른, 하느님께서 제정하신 직무인 제사장직과 목자직을 특별한 직무로 받아들이는 것이 불가결한 조건으로 요구됩니다. 이를 통해 모든 신자들의 성화가 하느님 은총의 다양한 선물로 이루어집니다. 표현의 모든 범위에서 취해지는 사도적 "연속성은 신앙과 도덕의 가르침, 영적이고 성찬적인 삶, 교회법적 구조 등 모든 측면과 표현에서 교회 생활 전체의 본질을 포괄합니다." -그런 다음 궁극적으로 그것은 교회의 가르침, 권세, 신성한 의식의 초점이자 대표자로서 바로 신권과 목자의 특별한 직무에 집중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전의 성격과 형태에 대한 문제는 그리스도의 최초의 제자들로부터 그들의 후계자들에 이르기까지 사제직과 목자의 사도적 은총은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2. 성경은 사도직의 신적으로 확립된 성격에 대해 분명히 말합니다(마가 3,13-14; 6: 7; 누가복음 6:13; 10:1; 요한복음 15:16; 행 20:28; 고린도전서 15:9-유; 갈라디아서 1:1 등) 및 기타 유형의 사역 그리스도의 몸”(엡 4:11; 참조, 고전 12:28). 이는 또한 교회의 신권 안수 방식, 즉 선택과 안수를 나타냅니다(예: 행 1장 16-26:14,23; 딤후 1:6; 딛 1:5). 특별한 의미 동시에 목사를 사역에 임명할 때 어디에서나 언급되는 안수식에도 주어집니다. 그러나 우리는 성경의 이러한 지시를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최초의 기독교 공동체에서 일어난 일시적인 사실로, 아니면 교회에서 하나님의 영원한 제도로 이해해야 합니까? 이제 성경에 대한 이해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다양한 종파의 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더 이상 대답할 수 없는 성경의 관련 구절에 대한 주석을 건드리지 않고, 성경의 거룩한 전통으로 돌아갑시다. 교회. 사도 시대 이후 시대에 살았던 가장 오래된 교부들은 사도들에게서 연속적으로 나오는 안수의 의미에 대해, 사제직과 목회직에 대해, 교회에서 이 사역의 신적인 확립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합니까? 그들의 증거를 제시해보자. 로마의 성 클레멘스: “사도들은 주 예수 그리스도 곧 하나님으로부터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우리에게 전하도록 보내심을 입었도다... 여러 나라와 도시에서 복음을 전하면서 ​​영적 시험을 받은 후에 신자 중에서 장자를 세우니라 , 미래의 신자들을 위한 감독과 집사로서.” 그는: “그리고 우리 사도들이 감독의 권위에 대하여 논쟁이 일어날 줄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알았으므로 미리 알고 위에 있는 목사들을 임명하고 법을 더하여 그들이 "그러므로 우리는 전체 교회의 동의를 얻어 사도들이 직접 임명했거나 다른 존경받는 사람들이 임명한 사람들의 직무를 박탈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적지 않은 일입니다." 우리가 주교직을 가져오는 사람들을 비난하고 거룩하게 빼앗지 않으면 죄가 우리에게 닥칠 것입니다." 그래서 세인트에 따르면 클레멘스에 따르면, 사도들은 스스로 감독을 임명하고 미래를 위한 이러한 임명의 승계에 관한 “법”을 확립했습니다. 신을 지닌 이냐시오 성인은 자신의 서신에서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친히 세우신 주교 직무와 이 직무의 위대함에 대해 썼습니다. 예를 들어, 그는 필라델피아 교회에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나는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로 그녀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이는 신자들에게 영원하고 끊임없는 기쁨입니다. 특히 그들이 주교와 그분의 장로들과 부제들과 연합할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뜻을 따르되 그의 기쁘신 뜻을 따라 성령으로 흔들림 없이 확증하셨으니 너희 주교가 신자 공동체를 위한 이 봉사를 자기 스스로나 사람을 통하여 받은 것이 아니요 허영에서가 아니요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이니라." “집주인이 자기 집을 다스리도록 보낸 사람을 보낸 사람과 동일하게 우리도 그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감독도 주님과 같이 여길 것이 분명합니다.” 4 그러므로 자연스러운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사람들은 감독과 함께 있습니다.”5 성도의 요청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그나티우스는 안디옥에서 주교를 선출하고 임명하는 데 참여하기 위해 필라델피아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러한 봉사에 합당한 사람은 복이 있습니다.” 그는 미래의 주교에 대해 이렇게 썼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이로 인해 영광을 받을 것입니다. 원하시면 하나님의 이름을 위하여 불가능한 일이 아니니 가까운 교회에서 이미 주교들과 장로들과 집사들을 파송하였느니라." 성 베드로의 순교 이후 이냐시오의 역사는 107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따라서 당시 주교 임명의 계승은 교회 생활에서 자명한 규범이었습니다. 세인트에서 리옹의 이레나이우스로부터 우리는 사도들이 예를 들어 로마의 첫 번째 주교인 리누스를 임명한 다음, 그 당시까지 그의 후계자들을 연속적으로 나열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많은 주교직에는 Eleutherus가 있습니다. 이 순서대로 연속해서 교회 전통사도들로부터 진리의 복음이 우리에게 왔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생명을 주는 동일한 신앙이 사도들로부터 오늘날까지 교회 안에서 보존되어 왔으며 그 참된 형태로 전해졌음을 보여주는 가장 완전한 증거가 됩니다. 그리고 폴리캅은... 사도들에 의해 아시아 서머나 교회의 주교가 되었습니다." 성 이레나이우스는 이렇게 썼습니다. "진리를 보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모든 교회에서 전 세계에 계시된 사도들의 전통을 배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교회에서 사도들이 임명한 주교들과 우리보다 앞선 그들의 후계자들을 나열할 수 있습니다…” 성 이레나이우스는 사도적 용어를 사용하여 때때로 “장로”와 “주교”의 개념을 구별하지 않습니다. 동시에 교회 안에 끊임없는 사도 계승이 존재함을 아주 분명하게 말하면서 이렇게 말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교회의 장로들을 따라야 합니다. 주교직 계승과 함께, 아버지의 기뻐하심으로 그들은 어떤 진리의 은사를 배웠으나, 원래의 계승에서 벗어나 어디든 모여 이단자나 거짓 교사 또는 분열론자로 의심받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의 다음 간증은 매우 중요해 보입니다. 최근 몇 년 신학자 요한 사도의 생애에 대해 클레멘트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폭군이 죽은 후 그는 파트모스 섬에서 에베소로 돌아왔을 때 이교도들을 (그리스도에게로) 끌어들이고 주교를 임명하고 소개하기 위해 인근 지역을 여행했습니다. 교회의 질서를 정하고 한 명 또는 그 이상을 성령의 표를 받은 성직자에게 안수하라." V. Ekzemplyarsky가 올바르게 지적했듯이 "클레멘스의 견해에 따르면 사도 시대에는 신자 공동체가 성직자를 임명할 권리가 인정되지 않았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러한 권리는 사도들에게만 속했고, 다른 교부들이 증언했듯이 그들과 그들의 후계자들이 직접 임명한 감독(장로)에게만 속했습니다. 고대 교회 시대부터 이 생각을 확증하는 교부적 증언이 몇 가지 더 인용될 수 있습니다. 테르툴리아누스: 이단자들에 대해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그들이 자기 교회의 기록 보관소를 포기하고 처음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져 온 주교의 질서를 선포하게 하십시오. 사도나 사도 중 창설자나 선임자 중 한 사람. 이런 식으로 교회는 책임을 집니다. 사도적.." 로마의 성 히폴리투스: “모든 국민이 선택한 사람을 주교로 임명하고, 그 이름이 지명되고 모든 사람이 좋아하게 되면, 주일에 참석한 장로들과 주교들과 함께 백성들을 모이게 하십시오. 모두의 동의를 얻어, 그에게 안수할 것이요 장로들은 조용히 서서 성령의 강림으로 말미암아 마음으로 기도할지니라. 참석한 주교 중 한 분이 모든 사람의 요청에 따라 주교로 축성된 사람에게 손을 얹고 이렇게 기도하게 하십시오... 카르타고의 성 키프리아누스: “교회는 하나이며 하나입니다. 그것은 내부와 외부 모두일 수 없습니다. 노바티아누스가 있었다면 합법적인 봉헌으로 파비앙 주교의 뒤를 이은 코르넬리우스는 아니었습니다... 노바티아누스는... 교회에 속하지 않습니다. 누구에게도 물려받지 않은 복음과 사도적 전통은 자신에게서 나왔으며, 주교로 간주될 수 없으며, 어떤 식으로든 교회를 소유할 수 없으며 교회에 봉헌되지 않은 교회를 소유할 수도 없습니다." “또는 하나님의 교회를 봉헌하여 다스리는 목자가 있는데, 알고 보니 나그네가 되고 이방인이 된 사람을 어떻게 목자로 볼 수 있겠습니까…?” “우리 주님... 주교의 존엄성과 그분의 교회 정치는 복음서에서 베드로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마태복음 16:18-19) 여기에서 주교의 권한(vices eriscoporum ordinatio)과 교회 통치가 일관되고 연속적으로 흘러나오므로, 교회는 주교의 손에 세워지고 교회의 모든 활동은 동일한 통치자에 의해 통제됩니다.” “그러므로 신성한 전통과 사도적 모범에 따라 우리와 거의 모든 국가에서 관찰되는 것을 주의 깊게 보존하고 관찰해야 합니다. 올바른 설치를 위해서는 가장 가까운 모든 주교가 영장류가 모이는 무리에 모여야 합니다. 임명되고 백성 앞에서 주교를 선출합니다... 우리는 당신이 우리 동지 사비누스를 임명했을 때 당신이 한 일이 무엇인지 알고 있습니다; 그는 동의하에 바실리데스 대신에 그에게 감독직을 부여하고 안수했습니다. 전체 형제단의 결정에 따라 참석한 사람들과 그에 관해 여러분에게 편지를 쓴 사람들 모두의 결정에 따라 이 합의는 올바르게 완료되면 그러한 상황으로 인해 파괴될 수 없습니다..." 등 다음은 세인트의 발언이다. 예를 들어 키프리아누스는 로마에서 “많은 우리 동지들에 의해”, 더 정확하게는 “16명의 공동 주교들”에 의해 주교로 임명되었습니다. 안수에 있어 사도적 계승에 대한 생각은 그와 동시대의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인 성 베드로에 의해 훨씬 더 분명하게 표현되었습니다. 키프로스 주교 피르밀리안: "... 죄를 용서하는 권세는 사도들에게 부여되었고... 그 다음에는 주교들에게 주어졌으며, 그 뒤를 이어 축성되었습니다." 고대 교회 가르침의 권위 있는 목소리는 소위 말하는 것입니다. 이 문제에 관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지시를 발견하는 거룩한 사도들의 규칙: “두세 명의 주교가 주교를 임명하도록 하라”(규칙 I). “주교 한 사람이 장로와 부제, 기타 성직자를 임명하게 하십시오”(교회법 2항). 이 문제에 대한 첫 3세기 교부들의 집단적 목소리에서 나온 결론은 아주 분명합니다. 가) 신권과 목양은 교회의 위대한 사역이며, 그것은 사람에 의해 확립된 것이 아니라 아버지 하나님에게서 나옵니다. 그리고 주 예수 그리스도는 성령의 특별한 활동을 통해 성취됩니다. b) 감독(개교회의 우두머리)은 사도들로부터 직접 오는 안수 직계 승계를 통해 교회 안에서 은혜와 권능을 받습니다. 그렇다니까" 신성한 전통 "그리고 처음 3세기 고대 교회의 입문식의 "법". 3. 그러나 고대 교회에서 성직자 임명에 있어서 사도적 계승이라는 사실 자체가 의심할 여지가 없다면(공동 논제 중 하나) 예를 들어, 러시아 정교회 대표자들과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 교회 대표자들 사이의 세 번째 대화에서는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습니다: "사도 시대 이후의 봉헌은 성령의 부르심에 따른 연속적인 서품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이것은 계승을 의미합니까? 주교 서품을 통해서만 신권의 은총을 전달하는 것입니까, 아니면 공동체 자체(평신도 라이카)가 장로와 주교를 임명하거나 장로들만 주교를 임명하는 것과 같은 다른 형태가 가능합니까? 위의 교부들의 진술에서 비록 그들은 신권의 연속적인 은총의 충만함을 지닌 주교들(장로들)에 대해서만 말하고 있지만 고대 교부들 사이에서 새로 등장한 용어의 모호함과 함께 (성경에서와 같이) 때로는 개인의 교계 계급을 구별하고 교회 내에서 사제직의 사도적 계승을 보존하는 데 있어서 그 계급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고대 교부들 사이에서 주교 임명에 대한 설명에서 이러한 용어의 모호함과 때로는 불분명한 표현으로 인해 개별 러시아인(예를 들어 A. Pokrovsky 교수, A. Spassky 교수)을 포함한 일부 연구자들은 잘못된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당연히, 이런 종류의 당혹감에 대한 해결은 이미 최종적으로 형성된 용어의 시대인 1세기와 그 이후의 아버지들의 후기 증언에서만 찾을 수 있습니다. 이 문제와 관련된 에큐메니칼 및 지방 의회의 정의 제1차 에큐메니칼 대성당은 제4조에 따라 “해당 지역의 모든 주교에게 한 명의 주교를 임명하라”고 명령하며, 필요한 경우 적어도 세 명은 반드시 임명해야 합니다. "안수를 수행합니다." 제4차 에큐메니칼 공의회의 교부 150명은 제28조에서 콘스탄티노플 교회와 특히 폰투스, 아시아, 트라키아의 대주교에 관해 결정을 내리며 다음과 같이 선언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지역은 그 지역의 주교들과 함께 하느님의 규정에 따라 교구 주교를 임명해야 합니다." 제7차 에큐메니칼 공의회의 세 번째 규칙은 신성한 예배에 대한 선거에 관해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평신도 지도자가 감독, 장로, 집사 직위에 오르는 모든 선거는 무효입니다. .. 감독으로 성임되려면 니케아의 거룩한 아버지들이 규칙에 정의되어 있는 것처럼 감독들 중에서 선출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341년 안티오키아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결정했습니다. 공의회와 지역 대도시의 존재"(오른쪽 19). " 공의회와 감독 법원을 제외하고는 감독이 다른 방식으로 임명되어서는 안된다고 결정한 교회 법령을 준수하십시오. 합당한 것을 생산하는 힘." 권위"(오른쪽 12) 카르타고 공의회 419: "많은 주교들이 모여서 주교를 임명합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어디에 있든 장상의 명령에 따라 세 명의 감독이 감독을 임명할 수 있습니다.”(규칙 13) “고대의 질서를 준수하십시오. 규칙은 감독 취임에 대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오른쪽 60) 사도적 법령: "감독은 세 명 또는 두 명의 감독에 의해 성임되도록 하십시오. 만약 한 감독이 그를 성임했다면, 그와 그를 성임한 사람은 모두 해임될 것입니다. 그리고 박해 동안이나 다른 유사한 이유로 더 많은 수의 주교가 참석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한 명의 주교에게 서품을 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수의 주교의 동의를 제시해야 합니다." 제2차 세계 대전, 27장) 공의회 규칙 따라서 그들은 주교만이 주교에 의해서만 임명될 수 있음, 즉 축성될 수 있음을 단호하게 확인합니다. 이 문제에 대한 이 시대의 개별 아버지들의 진술은 공의회 위원과 만장일치로 일치합니다. 교회의 가르침은 매우 다양하므로 여기서는 그 중 몇 가지만 인용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대 바실리오 성인은 교회에서 떨어져 나간 사람들을 받아들이는 관행에 관해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 내 말은 Cyprian과 우리 Firmilian이... 그것들을 모두 하나의 정의로 가져오기로 결정했다는 것입니다. 비록 분리의 시작은 분열로 인한 것이지만, 교회를 떠난 사람들에게는 더 이상 성령의 은혜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조상들에게서 성임식을 받고 안수로써 영적인 은사를 받았느니라. 그러나 버림받은 자들은 평신도가 되어 세례를 주거나 서품하는 능력이 없고 성령의 은혜를 다른 사람에게 전할 능력도 없어 그들 자신도 타락하였느니라."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이 사상이다. Basil the Great는 안수를 통해 아버지의 안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덕분에 목사 만이 교회에있는 동안 직무를 수행 할 권한을 얻습니다. 성 요한 크리소스톰(Saint John Chrysostom)은 디모데에게 보낸 첫 번째 편지(1U.14)에 대한 주석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그(Al. Paul)는 여기서 장로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감독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감독을 성임한 사람은 장로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사도 바울이 디도에게 한 대화에서 “내가 너를 그레데에 남겨 둔 이유는 너로 이루지 못한 일을 완수하고 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 함이라”고 말씀하십니다. 큰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는 친히 모든 것을 친히 바로잡았고, 더 많은 영예와 영광을 가져다주는 일, 곧 감독의 안수와 그 밖의 모든 일을 그 제자에게 맡겼습니다...” 그는 빌립보서에 대한 대화에서 말했습니다. : “그러나 장로들은 감독을 성임할 수 없었습니다.” 아버지 지역 대성당"거의 100명의 주교"가 참석한 알렉산드리아(340)에서 그들은 지역 서신에서 성 아타나시우스를 옹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아타나시우스는 당시에도 몇몇 사람들이 은밀하게 은밀한 장소에서 예닐곱 명의 주교에 의해 성임되었다고 회상했습니다. 이 사람들도 왕들에게 이 글을 썼는데 왕들은 어떤 거짓말도 쓰기를 거부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우리 중 많은 사람이 그를 성임했다고 합니다. , 모든 사람의 눈에 그리고 모든 사람의 일반적인 감탄으로 – 이것에 대해 다시 성임한 우리는 참석하지 않고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보다 더 신뢰할 만한 증인이 됩니다.” 키프로스의 성 에피파니우스는 그의 "파나리아"에서 세바스찬 이단자 아에리우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그(아에리우스)는 주교와 장로가 하나이며 동일하다고 말합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합니까? 주교직은 교회의 아버지를 낳습니다. 장로교는 아버지를 낳을 능력이 없으므로 중생의 목욕을 통하여 교회의 자녀를 낳고 아버지나 교사도 낳지 아니하느니라. 가세요, 어떻게 장로를 주교와 동등하게 부를 수 있습니까?" 예를 들어 Evseniy Pamphilus는 2세기 90년대 예루살렘의 주교 임명 사례 중 하나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고합니다. “나르키소스가 사막으로 은퇴했고 그가 어디에 있는지 아무도 몰랐을 때, 이웃 교회들은 그를 이름이 Diy인 다른 사람의 자리로 안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고대 교회 교부들의 이 모든 간증(그리고 그 수가 훨씬 더 늘어날 수 있음)은 의심할 바 없이 고대 교회에서 주교를 임명하는 통일된 관행과 결과적으로 성찬 거행에서 사도 계승에 대한 통일된 이해를 입증합니다. 신권의. 사실, 언뜻보기에 축복받은 자의 다음 말은 이 문제에 대한 아버지들의 동의와 모순됩니다. 복음서의 제롬: “... 사도는 장로들이 동일한 감독들임을 분명히 가르칩니다... 감독과 장로는 하나이며 동일하다는 것을 분명히 말하는 또 다른 증언을 들어보십시오... (딛 1, 5-7)... 그리고 그 후에 그 사람이 선택되어 나머지 사람들의 지도자가 되었습니다. 이것은 분열을 제거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알렉산드리아에서는 전도자 마가 시대부터 헤라클레스와 디오니시우스의 주교까지 , 장로들은 항상 그들 중에서 한 사람을 택하여 그를 키워 최고도, 군대가 황제를 만드는 것과 같이, 그들은 주교라고 불렸고, 집사들은 그들 중에서 열성적인 사람으로 알려진 사람을 선택하여 그를 대주교라고 부릅니다. 주교는 서품을 제외하고 장로가 하지 않는 일을 무엇을 합니까?" 그러나 이 경우 복자 제롬은 자신의 메시지를 다음과 같이 직접 결론을 내리기 때문에 주교를 장로로 서품한다는 생각을 표현하지 않았습니다. 안수를 제외하고 주교가 하는 일 중 장로가 하지 않는 일은 무엇입니까?" Lolliy 대주교(Yuryevsky)(+1935) 과학적 연구복자의 간증과 관련하여 고대 교회의 안수 문제. 제롬이 온다 다음 결론에 : “이 목적을 위해 복자 제롬의 말씀을 읽자마자, 그가 가장 고대 시대의 알렉산드리아 장로들의 권리에 관해 말하면서 왜 이 장로들이 “선택”되었고, “승격”되었다고 지적했는지가 즉시 분명해질 것입니다. 최고 학위", "그들은 자신이 선택한 사람을 "주교"라고 부르고 군대와 집사처럼 행동했지만 "성임"하고 다른 교회의 감독처럼 행동했다고 말하지 않았습니다. 이 경우 제롬 자신은 장로들이 왜 성임하지 않았습니다: 안수는 감독 직위의 독점적인 기능입니다. 제롬의 이 구절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 어디에서도 장로(제사장)가 언제 어디서나 안수를 집행하고 실제로 수행할 권리가 있다는 이야기를 찾을 수 없습니다. 성 요한 크리소스톰(St. John Chrysostom)의 말이 무의식적으로 떠오릅니다: “그리고 장로들은 교회에서 가르침과 수위권을 받았고, (사도 바울이) 감독에 관해 말한 것은 장로들에게도 적용됩니다. 이것만으로도 그들은 장로들보다 우월해 보입니다.” 따라서 Lollius 대주교는 이 진술이 축복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제롬은 자신의 글에서 반복적으로 표현한 자신의 신념이나 결과적으로 이 문제에 대한 고대 교회 교부들의 일반적인 동의와 결코 모순되지 않습니다. 지난 세기의 뛰어난 러시아 역사가 V.V. 볼로토프는 고대 교회의 안수 문제에 대한 자신의 연구를 다음과 같이 요약합니다. 그리고 그는 또 다른 가능성에 대해 훨씬 더 단호하게 썼습니다: "교회 계층의 가정된 민주주의 원칙은 가장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이를 확인하는 사실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으며, 공동체가 장로나 주교를 축성한 예는 전혀 없습니다. ” 이제 교회 사목자의 서품을 합법적으로 거행하는 사람들에 관해 이전에 제기된 문제로 돌아가서, 우리는 공의회 시대의 교부들의 가르침에 기초하여 거룩한 성직자들(주로 주교들)의 법령은 다음과 같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주교들에 의해서만 수행됩니다. 주교들은 사도들로부터 받은 서품의 승계로 인해 이러한 권리를 갖습니다. 안수를 통해 목자에게 부여되는 신권의 은혜는 교회에 대한 그의 범죄 때문에만 박탈될 수 있으며, 사람들의 뜻에 의해서는 취소될 수 없습니다. 주교 봉헌은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내재된 “왕 같은 제사장”의 은총과는 다른 특별한 은총으로 가득 찬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교에게 온전히 내재된 이 신권의 특별한 은총에는 다른 은총도 있습니다. 낮은 학위특히 장로와 집사; 장로와 집사는 성임할 수 없습니다. 오직 주교만이 이 권리를 가지며, 따라서 교회 안수에 대한 사도적 계승은 오직 주교를 통해서만 수행됩니다. 4. 공의회 시대의 교회 교부들은 우리가 볼 수 있듯이 근본적으로 새로운 것을 고대 교회에 도입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신권과 목자에 대한 사도 적 가르침을 도입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신권을 특별한 은혜를 받는 사역으로 보고, 이 때문에 교회 내에서 가르침, 통치, 신권에 대한 특별한 권리를 오직 다음을 통해서만 봅니다. 법적 승계안수는 사도들로부터 나오고 주교들을 통해 계속됩니다. 이 동일한 가르침이 처음 3세기 동안 교회에 담겨 있었으며, 이후 모든 세기의 교부들이 보존하고 기초를 두고 언급한 것도 바로 이 가르침이었습니다. 그리고 교회 생활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개별 형태가 변경되고 새로운기도가 도입되고 목회자 안수식 전체가 편집되었지만 교의 원칙 자체는 항상 변하지 않았습니다. 안수에 대한 사도 적 계승은 오직 수행되고 보존됩니다. 보고서에 대한 논제 교회 교부들의 가르침에 따른 사제직과 목자의 사도적 계승의 중요성에 대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습니다. 1. 내용 전체에 있어서 사도적 계승은 교회 안의 그리스도교 지식과 삶의 기초의 완전성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그것의 무조건적인 의미는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특히 교회에서 특별한 봉사에 부름을 받은 사람들에게 명백합니다. 교회 - 사제직과 목회자 직분 2. 특별한 의미에서 사도적 계승은 교회 안의 성직자 임명에 있어 사도들로부터 오는 안수식의 연속성을 의미합니다. 3. 이 연속성은 사도들로부터 주교들을 거쳐 이어집니다. 교부들의 가르침에 따라 주교, 장로, 부제 및 기타 성직자를 성임할 권리가 있습니다. 즉, 교부들의 가르침에 따르면 주교는 교회에서 성직자를 임명하는 데 있어서 사도들의 유일한 합법적인 후계자입니다. 4. 모든 성례전은 신적 인간적이기 때문에, 교회 안에 신적 제정을 통해 성령께서는 본질적으로 확실하고 불변하는 인간 의식을 통해 성사 안에서 역사하십니다. 교회가 창립될 때부터 성직자 서품에 있어서 이러한 것은 연속적인 서품으로서, 사도들로부터 나오며 오직 주교들을 통해서만 집행됩니다. 5. 목양은 성직자(주로 주교와 장로)의 직접적인 책임이므로 당연히 사도적 서품의 계승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0.01초만에 페이지가 생성되었습니다!

주님은 사도 베드로에게 이렇게 약속하셨습니다. "이 돌 위에(사도적 신앙) 나는 나의 교회를 창조할 것이며 지옥의 문이 이기지 못할 것이다 그녀의» (마태 16:18); "영광을 교회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모든 세대에게 세기에서 세기로» (엡 3:21). 교회의 연속성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장로 안수 체계의 연속성. 그리스도께서는 사도들을 선택하셨고(요한복음 15:16), 사도들은 교회를 섬기도록 그들의 후계자를 성임했습니다. « 그들을 위해 장로들을 성임하고모든 교회에"(행 14:23, 6:6) 오순절 날 교회가 받은 모든 충만한 은혜가 그분을 통해 여전히 전달됩니다. ~을 통해 사도의 안수성령을 주신다"(행 8:18). “네 속에 있는 것을 소홀히 여기지 말라 재능당신에게 주어진... 신권의 안수로 "(딤전 4:14). 사도들은 또한 이 신권의 은사를 합당한 후계자에게 물려줄 것을 명했습니다. “이러므로 내가 너를 그레데에 남겨 두었나니 이는 너로 이루지 못한 일과 각 도시에 장로들을 임명함» (디도서 1:5); « 누구에게도 손을 대지 마세요황급히"(딤전 5:22). 1세기 말까지, 어느 정도 중요한 도시의 기독교 공동체는 성임된 사도들의 인도를 받았습니다. 연상, 이는 오순절 날 받은 사도적 은총의 충만함을 지닌 사람들.

3) 알렉산드리아 지역교회 42년에 사도 마가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알렉산드리아 정교회의 사도 계승 목록

4) 콘스탄티노플 지역 교회, 38년부터 54년까지 바다에 있던 사도 스타키스를 감독으로 성임한 안드레아 사도에 의해 37년 비잔티움 시에서 설립되었습니다(로마서 16:9). 그는 차례로 54-68년에 오네시모를 성임했고, 오네시모 주교는 68-70년에 폴리갑을 성임했으며, 이런 식으로 20세기에 걸쳐 계속되었습니다. 이제 거룩한 사도 중 179번째 주교가 됩니다. 모스크바 총대주교와 전 러시아인의 키릴.
콘스탄티노폴리스 정교회의 사도 계승 목록

6) 러시아 지역교회:
37년 안드레아 사도는 비잔티움이라는 도시에 교회를 세우고 38세부터 54세까지 바다에 있던 스타키스 사도를 감독으로 임명했습니다. ”(롬 16:9). 이어서 그는 오네시모를 성임하였다(54~68). 오네시모 감독은 폴리캅(68~70)을 성임했습니다. 20세기에 걸쳐 계속됩니다.

연령

사도 안드레

사도 스타키오스

38~54

폴리캅

70-84(-86)

디오게네스(Diomenes)

에페우테리우스

110-123(-127)

아테노도루스(아피노겐)

올림피우스(알리피우스)

페르티낙스

올림픽 선수

키릴리안(Kyriak)

카스틴(Kistin)

티투스(트랏, 토랏)

도메티우스(Dometian)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

성. 미트로판

315-325 첫 번째 에큐메니칼 공의회.

성. 알렉산더

성. 폴

마케도니우스 1세

에브독시

370명이 추방되었습니다.

성. 신학자 그레고리오

꿀샘

381-397 II 에큐메니칼 평의회.

성. 존 1세 크리소스톰

시시니우스 1세

네스토리우스

428-431 III 에큐메니칼 평의회.

성. 막시미아누스

성. 프로클로스

성. 플라비안

성. 아나톨리

449-458 IV 에큐메니칼 평의회.

성. 겐나디

마케도니아 II

티모시 1세

요한 2세 카파도키아인

에피파니우스

성. 에우 티케 스

552-565, 577-582 V 에큐메니칼 평의회.

요한 3세 스콜라 철학자

성. 더 빠른 요한 4세

성. 토마스 1세

639-641, 654-655

성. 존 5세

콘스탄티누스 1세

성. 테오도르 1세

676-678, 683-686

성. 조지 1세

678-683 VI 에큐메니칼 평의회.

성. 칼리니크

성. 헤르만 1세

아나스타시

콘스탄티누스 2세

성. 폴 4세

성. 타라시

784-806 VII 에큐메니칼 평의회.

성. 니케포로스 1세

806-815 (+828)

테오도토스 1세 카시터

앤서니 1세

성. 메토디우스

842-846 정통의 승리.

성. 이그나티우스

846-857, 867-877

성. 포티우스

857-867, 877-886 나는 루스의 세례'를 받았습니다.

성. 스티븐 1세

성. 앤서니 2세 카울레이

니콜라스 1세

895-906, 911-925

성. 트리폰

테오필락트

폴리에브트

956-970 성 세례 올가 공주.

바실리 1세 스카만드린

앤서니 3세 연구생

니콜라스 2세 크리소베르그

983-996 루스의 세례(988). 1448년까지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의 일부였던 러시아 교회의 창립.

키예프 대도시:

성. 마이클 1세

988-991 루스의 세례'.

레온티 1세

성. 힐라리온

조지 2세

성. 에브라임 2세

니케포로스 1세

클리멘트 스몰랴티치

성.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누스 2세

니케포로스 2세

디오니소스

1205년에 언급됨

1209-1220에서 언급됨.

1237년 도착. 바투 침공.

키릴 3세

1283-1305 부서가 블라디미르로 이전되었습니다.

1308-1326 대도시는 모스크바에 산다.

성. 테오그노스투스

성. 알렉시

1355-1378 성. 세르지오.

성. 키프로스 섬 사람

1381-1383,1390-1406 쿨리코보 전투.

성. 디오니소스

성. 포티우스

1437-1441 노동조합에 서명하고 제명되었다.

모스크바 대도시:

성. 요나 1세

1448-1461, 1448 러시아 교회의 자치권.

테오도시우스

게론티우스

1473년부터 1489년까지 타타르 멍에의 전복.

1490-1494 유대교 이단으로 인해 직위에서 추방됨.

성. 마카리우스

아파나시

성. 필립

1566년부터 1568년까지 Ivan IV the Terrible 시대에 살해되었습니다.

디오니소스

대주교 및 이후 총대주교:

1586년부터 1589년까지 1589년 총대주교청 설립

1589-1605 False Dmitry I에 의해 해임되었습니다.

전 러시아 총대주교:

svschmch. 헤르모게네스

1606년부터 1612년까지 고난의 시간.

로컴:

대주교 파프누티 크루티츠키

대주교 에프렘 카잔스키

대주교 필라레(로마노프)

1614년부터 1619년까지 포로 상태 1619-1633 왕의 총대주교이자 공동 통치자.

1632년부터 1666년까지 Old Believer 분열의 시작.

1667년부터 1672년까지 위대한 모스크바 대성당.

대주교 스테판(야보르스키)

1701-1721 총대주교 왕좌의 locum tenens.

대주교:

조셉 (볼간스키)

플라톤(말리노프스키)

티모페이(슈체르바츠키)

암브로스 (Zertis-Kamensky)

Ep. 사무일 콜로멘스키

플라톤(레브신)

1775년부터 1812년까지 1787년부터 수도권.

아우구스틴(비노그라드스키)

대도시:

세라핌(Glagolevsky)

성. 필라레(Drozdov)

성. 이노켄티(베니아미노프)

마카리우스(불가코프)

Ioannikiy (루드네프)

레베딘스키(레베딘스키)

세르지오(랴피데프스키)

svschmch. 블라디미르(보고야블렌스키)

성. 마카리우스(네프스키)

1917-1918년 공의회에서 총대주교직 복원:

성. Patr. 티콘(벨라빈)

1917년 11월 21일부터 1922년 5월 4일까지 그는 당시 볼셰비키에 의해 체포되었습니다. 가부장적 로쿰 테넨스. 대주교 Agafangel 1922년 6월 5일 - 1922년 여름 locum tenens.

성. Patr. 티콘

1923년 6월 14일부터 1925년 4월 7일까지 총대주교가 죽은 후, 그의 완전한 권력은 실제로 성 베드로에게 소유되었습니다. 대주교 Peter (Polyansky) Krutitsky 1925년 4월 12일부터 1937년 10월 10일까지 실제로 그는 1925년 4월 12일부터 1925년 12월 10일까지 교회를 통치한 후 체포되어 순교할 때까지 감옥에 갇혀 있었습니다. 대주교 세르지오 (Stragorodsky) 니즈니 노브고로드 1925년 12월 10일-1926년 12월 8일 대주교 조셉(페트로비크) 로스토프(레닌그라드) 1926년 12월 8일~1926년 12월 29일 대주교 Seraphim (Samoilovich) Uglichsky 1926년 12월 29일부터 1927년 4월 12일까지 대주교 Sergius (Stragorodsky) 니즈니 노브고로드 1927년 4월 12일부터 1936년 12월 27일까지 수도권 Sergius (Stragorodsky) 4(27). 1936년 12월 총감독회 1943년 8월 30일 총대주교로 선출됨.

총대주교 세르지오(Stragorodsky)

1943년 8월 30일-2(1944년 5월 15일)

총대주교 알렉시 1세(시만스키)

1945년 1월 31일부터 1970년까지

피멘 총대주교(이즈베코프)

총대주교 알렉시 2세(리디거)

키릴 총대주교(군디야예프)

2009년 - 현재

1054년 다섯 명 중 한 명지역 교회-삼위일체에 대한 사도 적 가르침을 왜곡하고이 이단을 신조에 도입 한 로마 교회는 사도 바울의 저주에 빠지면서 하나의 사도 적 에큐메니칼 교회에서 멀어졌습니다 (갈 1 : 8-9)